한국경제는 이제 물가가 경제 성장률을 앞지르는 본격적인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고물가) 국면에 접어들었다. 정부는 어제 "지금 같은 高(고)유가가 계속되면 올해 성장률은 4% 후반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며 4%대 성장을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현재 정부의 목표치 6%와는 엄청난 격차다. 해외투자은행(IB)들은 한국경제를 더 비관하고 있다. 그들이 예측한 성장률 평균치는 4.5%다. 아시아 주요국의 평균성장률 5.7%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문제는 이런 저성장 기조가 올해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는 점이다. 비교적 호황이었던 지난 5년 동안에도 한국은 세계 평균성장률(5%)에 근접하지 못했으며 아시아 주요국에서도 꼴찌 수준을 맴돌았다. 앞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마저 떨어진 게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아 최근의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과 고유가의 위험성에 크게 노출돼 있다. 투자은행인 메릴린치의 "아시아에서 한국은 태국 대만 필리핀 등과 함께 오일 쇼크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나라"라는 지적은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다.
더 큰 문제는 물가가 성장을 앞지르는 '후진국 형' 경제에 있다. 지난 5월 소비자 물가는 이미 4.9% 올랐으며 이달에는 5%를 넘을 것이 확실시된다. 게다가 국민 대부분이 성장보다는 물가 안정에 치중하기를 원하고 있어 고유가 시대가 끝나지 않는 한 실질적인 마이너스 성장도 감내해야 할 지경이다.
정부는 이제 스태그플레이션의 늪에서 빠져나올 궁리를 해야 한다. 내수가 극도로 부진한 상황에서 고물가-저성장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어떻게 끊을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정치적 혼란에서 벗어나 규제완화와 공기업 개혁을 통해 경제 살리기에 매진하는 모습을 하루빨리 보여줘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