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 안동·예천으로] (中)도민화합과 갈등치유

입력 2008-06-10 10:20:05

300만 웅도 재도약 기회 삼을 리더십 발휘해야

▲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로 안동·예천이 확정된 가운데 도청 이전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선 300만 도민의 화합이 우선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며 항공 촬영한 이전 예정지. 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로 안동·예천이 확정된 가운데 도청 이전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선 300만 도민의 화합이 우선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며 항공 촬영한 이전 예정지. 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경북도청 이전지가 결정되면서 도청 이전이 본 궤도에 올랐다. 경북도는 9일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를 도청 이전 예정지로 지정 공고하고 '경북도의 사무소 소재지 변경에 관한 조례 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조례가 제정되면 도청이전 추진지원단이 발족돼 2009년 6월 말까지 도시기본계획 수립, 9월 말까지 도시개발구역 지정, 2010년 8월까지 개발계획 및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이어 보상대책 등을 마련하게 된다.

이제 남은 것은 도민들의 화합이다. 갈등과 반목을 해소하지 못하면 도청 이전은 안하느니 못하기 때문이다. 대구시가 경북도에서 분리된 이후 도청 이전작업이 지지부진했던 것도 지나친 유치 경쟁과 이에 따른 지역간 갈등 탓이었음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지난해 말부터 본격화된 예정지 선정작업 과정에서도 적지않은 갈등이 노출됐고, 도청 유치에 실패한 일부 시군은 이전지 발표 직후부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다시 우려를 낳고 있다.

예정지 선정은 처음부터 모두가 만족하는 완벽한 선택이 될 수는 없다. 도청이 옮겨가는 지역은 발전의 호기를 맞게 되지만 나머지 지역에는 별다른 선물이 돌아가지 않기 때문이다.

예정지가 결정되더라도 반발이 계속되면 이전작업 자체가 흔들리고 지연될 수밖에 없다. 경북도와 이전추진위원회의 대책과 노력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곳곳에서 터져나오는 갈등과 불만을 치유하는 리더십이 절실한 것이다.

탈락지역에서 제기한 의혹과 비판에 대해서도 소극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 탈락지역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설득력있는 해명으로 의혹을 풀어주고 감싸 안으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물론 지자체들의 반발이 '찻잔 속의 태풍'으로 끝날 수도 있다. 실제로 경북도에 앞서 2005년과 2006년 각각 도청 이전을 결정한 전남과 충남에서도 극심한 지역 갈등이 나타났지만, 예정지 발표 후에는 별다른 마찰이 빚어지지 않았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이와 관련, 9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탈락지역의 반발은 자기 지역을 사랑하기 때문에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며 "도민 전체가 화합 속에서 도청 이전을 추진해 성공했다는 평가를 내리도록 이해와 협조를 구하겠다"고 말했다. 또 권역별 지역별 균형발전을 위해 관련 조례안과 특별회계도 만들어 실행하겠다고 밝혔다.

도청 이전 선정지 결정은 후보지 중 우수한 곳을 가려내는 작업이었다. 경북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지역균형 발전을 달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나은 곳을 선정한 것이다.

이제는 도청 이전을 웅도 경북의 전면적 발전 기폭제로 활용하는 전략을 마련하는 일을 서둘러야 한다. 도청 이전을 갈등과 반목의 시발지가 아닌, 새로운 미래 창조의 기회로 활용하기를 기대하는 300만 도민의 기대를 경북도가 얼마나 충족시킬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장성혁 동영상인턴기자 jsh0529@msnet.co.kr

※ ▶ 버튼을 클릭하면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