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포 첨망대에 서서 바람을 맞았다. 몇 그루의 대나무가 서걱거리는 소리를 내었다. 내 마음 한쪽에서도 서걱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쓸쓸했다. '칼의 노래' 마지막장을 열었다. 언어는 통제사만큼이나 절박했다.
나는 대장선 장대에서 소리쳤다.
- 관음포가 급하다. 관음포로 가자.
그때 적선 2척이 내 대장선 앞뒤로 달려들었다. 난간에 도열한 적들이 일제히 무더기로 쏘아댔다. 갑자기 왼쪽 가슴이 무거웠다. 나는 장대 바닥에 쓰러졌다. 군관 송희립이 방패로 내 앞을 가렸다. 송희립은 나를 선실 안으로 옮겼다. 고통은 오래 전부터 내 몸속에서 살아왔던 것처럼 전신에 퍼져나갔다. 나는 졸음처럼 서서히, 그러나 확실히 다가오는 죽음을 느꼈다.
- 지금 싸움이 한창이다. 너는 내 죽었다는 말을 내지 말라.
내 갑옷을 벗기면서 송희립은 울었다.
- 나으리, 총알은 깊지 않습니다.
나는 안다. 총알은 깊다. 총알은 임진년의 총알보다 훨씬 더 깊이, 제자리를 찾아서 박혀 있었다. 오랜만에 갑옷을 벗은 몸에 서늘한 한기가 느껴졌다. 서늘함은 눈물겨웠다. 팔다리가 내 마음에서 멀어졌다. 송희립은 갑옷 소매로 눈물을 닦으며 북을 울렸다. 난전은 계속 중이었다. 싸움의 뒤쪽 아득한 바다 위에서 노을에 어둠이 스미고 있었다. 나는 심한 졸음을 느꼈다. 내 시체를 이 쓰레기의 바다에 던지라고 말하고 싶었다. 졸음이 입을 막아 입은 열리지 않았다. 나는 내 자연사에 안도했다.(김훈, '칼의 노래' 부분)
관음포에는 갈라진 섬들이 말없이 떠 있었다. 통제사의 선택을 되새겼다. '나는 안다. 총알은 깊다.' 김훈의 언어가 매섭고도 깊다. 총알은 깊다. 발끝에서 시작된 울음이 가슴을 거쳐 입과 코로 쏟아져 나왔다. 통제사의 아픔이 내 아픔처럼 눈물겨웠다. 오랫동안 관음포의 울음소리를 들었다. 통제사의 그것에 비하면 지금까지 내가 겪은 슬픔이나 아픔, 그리고 쓸쓸함들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바다가 바람 속에서 통곡하는 소리를 아득하게 들었다. 내 등을 무자비하게 난도질하는 매서운 칼의 노래를 들었다. 다시 쓸쓸했다. 난 선택의 기로에서 늘 통제사의 선택을 떠올렸다. 사실 통제사에게는 퇴로가 없었다. 어쩌면 퇴로가 존재했던 적들보다도 더 불행했던 셈이다. 결국 통제사는 적의 퇴로를 끊는다. 그리고 죽음을 맞는다. 그것이 통제사의 유일한 퇴로였던 게다. 그러면…나의 퇴로는? 최소한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는 통제사보다는 행복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금까지 내가 품었던 어떤 알들도 부화하지 못했다. 결국 난 단 한번도 새가 되어 비상하지 못했던 셈이다. 문득 칼로 베어지는 적을 지닌 통제사가 역설적으로 부러웠다. 칼로 베어지지 않는 적들을 이 세상에 남겨두고 스스로 자신만의 자연사를 선택한 통제사가 부러웠다. 아니다. 이런 마음의 흐름조차 사치이다. 내가 느껴야 할 감정은 오히려 통제사에 대한 한없는 부끄러움이리라. 가장 먼저 싸워야 할 적이 바로 자기 자신이며, 민초를 하늘로 알고 마음을 다하여 섬길 수 있는 마음일 때 나는 진실로 통제사를 부러워할 수 있으리라.
이제 통제사와 함께한 내 여행의 기록도 마무리할 때가 되었다. 행복했다. 여행 동안 늘 쓸쓸했던 기억조차도 행복했다. 수많은 불가능에 도전하고 깊은 절망과 싸우면서도 끝내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통제사의 길을 그의 마음과 함께 걸어보았다는 것이 행복했다. '칼의 노래'를 덮었다. 그러다가 다시 첫 장을 펼쳤다. 거기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 꽃피는 숲에 저녁노을이 비치어, 구름처럼 부풀어 오른 섬들은 바다에 박힌 사슬을 풀고 어두워지는 수평선 너머로 흘러가는 듯싶었다.
한준희(경명여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