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중순 해커가 인터넷을 통해 청와대에 침투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내부자료를 훔쳐갔다. 국가 안보의 심장부인 청와대의 보안망에 구멍이 뚫린 것이다. 청와대가 뚫렸다는 것은 대한민국이 뚫렸다는 거나 다름없다. IT 강국을 자처해온 대한민국의 체면이 말이 아니게 됐다.
청와대는 "유출된 정보가 국가기밀이 아닌데다 더 이상의 해킹도 차단했다"며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 하지만 해커가 침투한 곳이 다름 아닌 국가 안보를 총괄하는 NSC 사무처이다 보면 이런 해명은 어설프다. NSC는 국가안보에 관련한 기본 자료가 가장 완벽히 구축되어 있는 곳이다. 국방과 외교 재해 등과 관련된 모든 정보가 모여 매일 업그레이드된다. 더욱이 해커가 침입한 시점이 정권 교체로 어수선 하던 무렵이다. 조직적인 침투 시도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오히려 의심해 봐야 한다.
게다가 청와대가 해킹 사실을 알아챈 것은 전체 전산시스템 보안 점검 작업을 벌인 3월 초였다고 하니 어이없다. 매일 업그레이드되는 국가 안보에 관한 주요 정보가 적어도 보름 이상 정체를 알 수 없는 외부 조직에 노출되어 있었다는 이야기다.
국가정보원이 최근 발간한 '2008 국가 정보보호백서'는 지난해 국내 공공기관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가 7천588건에 이른다고 밝히고 있다. 2006년에 비해 무려 77%나 증가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육군 내 컴퓨터 바이러스 침투 및 해킹이 2005년부터 3년간 4천500여 건에 달한다는 지적이 나와 국민들을 경악하게 했다.
국가 안보 기관의 전산망에 이같이 구멍이 뚫리고 국가와 개인정보가 새나간다면 국민들은 불안하다. IT 강국을 외치는 대한민국의 보안 수준이 이 정도인가.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김어준 콘서트에 文·김민석 줄참석…비선실세냐" 野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