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번째 조산아는 울 힘도 없다…대전·서울로 원정 가야
정숙희(가명·32·여)씨는 지난 2월 아기를 낳자마자 잃을 뻔했다. 출산 예정일을 석 달 앞두고 갑작스런 산통으로 다니던 산부인과 병원을 찾았으나 큰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정씨는 급히 대학병원 등 이곳저곳에 전화를 했지만 대답은 모두 'NO'였다. 신생아 중환자실에 여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는 수소문 끝에 결국 부산까지 가야 했고 다행히 출산 직전에 도착, 아기를 낳아 인큐베이터가 있는 응급실에 입원시킬 수 있었다.
대구에 조산아를 위한 신생아 중환자실이 태부족하다.
조산 직전의 산모들은 '목숨을 걸고' 안동이나 부산, 심지어 대전, 서울 등 먼 지역까지 떠돌고 있다.
대구에는 경북대병원, 영남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등 5곳에 신생아 중환자실(집중치료실)이 있지만 입원하기는 그야말로 '하늘의 별 따기'다.
이들 병원에 마련돼 있는 인큐베이터 등 병상은 고작 50개. 조산아들은 한번 입원하면 평균 1~3개월 정도 치료를 받기 때문에 입원이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경북대병원의 경우 신생아 중환자실에 인큐베이터가 13개 있지만 인공호흡기는 6대뿐이어서 인공호흡기를 모두 사용할 경우 인큐베이터가 비었다 하더라도 환자를 받을 수 없다.
한 산부인과병원 원장은 "조산 조짐이 있는 임신부는 빨리 시설을 갖춘 대형병원으로 옮겨야 하는데, 신생아 중환자실이 있는 대구 병원에 전화해 빈 자리가 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거의 없다"며 "답답하고 급한 마음에 보호자들에게 '대학병원에 가서 무조건 드러누워라'고 얘기한 적도 있다"고 했다.
병원들은 '적자'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신생아 중환자실에 필요한 인큐베이터, 인공호흡기 등 장비가 수천만원에 이르는데다 신생아 1명당 전문 간호인력 2명이 배치될 정도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 의료수가는 턱없이 낮아 신생아 중환자실을 운영하면 할수록 적자 폭이 커진다고 했다.
한 대학병원 소아과 관계자는 "한달에 적자가 1억원 정도 발생하는데, 병원 전체 적자 중 대부분은 소아청소년과에서 나오고, 이중 대부분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발생된다"며 "수가가 현실화되거나 정부의 예산 지원이 없으면 신생아 중환자실 확충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