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주는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세 가지 요소이다. 그리고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그런데, 사람은 살기 위해서만 먹지는 않는다. 먹기 위해서 살기도 한다. 식욕은 사람이 지닌 근본적인 욕망 중의 하나이다. 이 욕망이 충족되었을 때 사람은 즐거움을 느낀다. 그래서 먹는 일은 사람이 살아가는 즐거움 가운데 하나가 된다. 그러나 다이어트 산업이 날로 번창하는 걸 보면, 어떤 사람에게는 먹는 일이 괴로움이 되기도 하는 모양이다.
마른 체격인 나는 다이어트에 신경 쓸 일이 없기에 먹는 일을 마음껏 즐긴다. 객지나 외국에 가면 꼭 그곳의 이름난 식당을 찾아 별미를 즐기곤 한다. 때로는 음식 값이 제법 비쌀 때도 있지만, 그 순간만큼은 돈을 아끼지 않고 과감하게 지갑을 연다. 이렇게 먹는 일의 즐거움을 오래오래 누리기 위해 내 나름대로 정한 규칙이 세 가지 있다.
첫째, 적게 먹는다. 굳이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배가 부르면 음식 맛이 없어지게 마련이다. 그래서 나는 배가 부르도록 먹지 않는다. 배가 고프지 않을 만큼만 먹고 수저를 내려놓는다. 적게 먹는 것은 건강에도 좋을 뿐 아니라 아직도 굶주리고 있는 8억명이 넘는 사람들에 대한 예의이기도 하다. 적게 먹으면 될 일을 가지고, 쓸데없이 많이 먹고서는 살 뺀다고 땀 흘리며 고생할 필요가 뭐 있겠는가?
둘째, 천천히 먹는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매사에 조급해서 그런지, 식당에 들어서자마자 음식이 곧바로 나와야 직성이 풀리고, 밥 먹는 속도 또한 대단히 빠르다. 이렇게 빨리 먹어서는 음식 맛을 제대로 느끼고 즐길 수 없다. 천천히 꼭꼭 씹어 먹어야 비로소 음식의 참맛을 느낄 수 있다. 나그네에게 물을 떠주면서 버들잎 몇 개를 일부러 떨어뜨려 천천히 마시도록 한 지혜로운 아가씨 이야기도 있지 않은가?
셋째, 육류보다는 야채를 주로 먹는다. 나는 채식주의자는 아니다. 그냥 고기보다는 채소가 내 입맛에 더 맞으니까 즐겨 먹는 것이다. 가끔 회식 자리에서는 본전 생각 때문에 고기를 많이 먹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사람의 입을 즐겁게 하기 위해 죄 없는 동물을 가두어 기르고 죽이는 일이 과연 인간으로서 할 짓인가 자문하게 된다. 인간이라는 잡식성 동물이 빠지게 되는 딜레마이다.
요즘처럼 꽃이 지는 계절에는 나무 그늘에 앉아 비빔밥을 먹고 싶다. 김이 설설 나는 갓 지은 하얀 쌀밥 위에 향긋한 봄나물과 매콤한 고추장을 얹고 쓱쓱 비벼서 맑은 콩나물 국물과 함께 먹고 싶다. 그 밥그릇 안에 꽃잎 두세 장 떨어져 내리면 더욱 맛있으리라.
시인·영진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