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가 상승, 고유가 등 지역 중소기업을 둘러싼 환경은 어렵기만 하다. 하지만 주저앉을 수는 없는 일이다. 거센 도전에 대응하면서 활로를 찾고 있는 두 동갑내기 중소기업 대표를 만났다.
◆대기업 정수기 시장 도전장
대구 성서공단에 있는 대진필터엔지니어링은 대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정수기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다. 대기업 제품의 가격이 200만~300만원 정도지만 이 업체는 15만원에 정수기를 판매할 계획이다. 대기업의 정수기는 모터압을 가해서 여과되지만 이 제품은 자연수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업체 이봉대(50) 대표는 수년전 신개념의 나노필터를 개발했지만 기존 시장을 뚫기가 힘들었다. 필터를 대기업에 공급하려고 했으나 홍보와 마케팅 부족으로 좌절했다. 하지만 이 대표는 포기하지 않았다.
정수기 케이스를 직접 만들어 팔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불경기이지만 수년동안 기술개발비로 20억원을 투자했다. 신제품은 이달말 나올 계획이다. 이 대표는 품질인증서 등을 받은 뒤 내달말쯤 시장에 내놓을 작정이다.
그는 "획기적인 필터를 개발해 납품하려고 했지만 대기업은 관망만 했다"면서 "좀더 투자해서 케이스를 만들어 싼 가격으로 시민들에게 보급하는 것이 더 낫겠다는 판단을 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액이 35억원에 불과하지만 대구시의 스타기업으로도 선정됐다. 정수기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나오면 올해 10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한다.
이 대표는 "중소기업인들이 어렵다고 하지만 직원과 힘을 합쳐 노력한다면 불황을 극복할 수 있다"고 웃었다.
◆2025년 매출 1조원 목표
대구 성서공단에 있는 삼영이앤티는 탄탄한 기술력과 인재양성을 통해 환경설비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신생 환경벤처기업이다. 지난 2005년 7월 설립된 이 기업은 수처리와 악취오염방지설비, 상하수도설비공사로 공기업과 지방자치단체에 공급하고 있다. 가장 주력하는 분야는 환경플랜트설비로 슬러지수집기, 제진기, 바이오필터탈취기 및 자동제어설비이다.
삼영이앤티는 지난해 매출 18억원에 이어 올해 50억원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박인호(50) 대표의 욕심은 많다. 2010년 매출 100억원, 2015년 매출 1천억원에 이어 2025년 매출 1조원 달성을 목표로 한다.
박 대표는 "아직은 작은 기업이지만 끊임없는 인재양성과 기술개발로 국내환경산업을 이끄는 선두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그는 회사의 주식을 창업초기부터 직원들에게 배분했다. 11명의 직원들에게 주인의식을 갖게 하기 위해서다. 또 그는 전직원의 '박사화'를 추구한다. 모든 직원들에게 박사학위를 받게 하기 위해 교육비를 무상으로 제공한다. 지난해에는 교육비로 1천500만원을 지원했다. 박 대표도 솔선수범을 위해 최근 영남대 대학원에 입학했다. 박 대표는 "지역 중소기업들이 많이 어렵지만 기업환경은 많이 좋아졌다"면서 "중기 보호지원책과 제도가 많은 만큼 스스로 노력한다면 돌파구는 열린다"고 말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