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투자]시장의 흐름과 '정보의 맥' 잡을줄 알아야

입력 2008-03-06 13:56:53

섬세하고 정확한 정보 위해 발품 팔아야

주식형 펀드가 광풍처럼 인기몰이를 할 수 있었던 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투자자 입장에선 소액으로 투자가 가능하다는 것이고 또한 소액인 만큼 여유자금으로 투자기간 결정이 자유롭다는 것이 아닌가 싶다. 특히 적립식 투자가 가능하는 것은 소액 투자자에게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부동산은 주식보다는 투자규모가 조금은 큰 편이다. 하지만 소규모로도 가능한 투자 상품을 찾아보면 적지만은 않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분양권 전매, 소규모 부동산 경매와 공매, 전세 낀 빌라 매입, 텃밭형 소형 토지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요즘에는 지인이나 계모임 등에서 소자본을 모아 투자 이익은 적지만 리스크가 적은 상품에 공동 투자하는 것도 소액 투자의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처럼 불명확한 시장 속에서 부동산 투자시 유의할 점은 여유자금으로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활용기간이 한정돼 있는 자금으로 투자할 경우 자금 사용시기가 다가오면 손실을 감안하고도 매각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생긴다.

또 투자금의 범위를 명확하게 확정해야 한다는 것도 중요 사항이다. 예를 들면 밭이나 논을 산다면 개발비용과 전용비용도 함께 고려해야 하고, 노후에 생활할 주택을 구입한다면 리모델링이나 수리비용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아파트 분양권의 경우 전매를 목적으로 분양받은 아파트를 전매하지 못할 경우 입주금까지 마련해야 하고, 그렇치 못할 경우엔 계약금을 날리는 것은 물론이고 중도금 무이자 대출을 받았다면 준공후부터는 이자를 물어야 하는 등 커다란 손실을 볼 수 도 있다.

이러한 손실을 피하고,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투자자 다운 노력이 필요하다.

부동산은 주식형펀드와 달리 직접 투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본인이 정보를 갖고 지식을 얻으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 부동산 투자 성공을 위해서는 우선 투자자의 자세를 갖춰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보의 맥'을 잡을 줄 알아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보를 담는 그릇을 키워야 한다. 그릇을 키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서적(부동산관련 투자 안내) 세 권 이상은 탐독하라. 관련 서적이 너무 많아 선택의 어려움은 있지만 성공 케이스 보다는 원칙론에 중심을 둔 서적이 유용하다.

부동산 상품은 대지'단독주택'아파트'빌라'전원주택'공장'전'답 등으로 다양하다. 이같이 다양한 상품에 대한 투자의 장단점이 어떠한지 알아야 한다. 상품별 투자금 규모'방법'수익률'투자기간'회수방법'관련세제 등에 대해 기준을 세워야 한다.

둘째는 부동산시장 흐름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모든 상품은 도입-성장-성숙-쇠퇴의 사이클를 갖고 있다. 그러면 사이클 주기와 대세를 어떻게하면 읽을 수 있을까? 신문과 방송에서 처음 또는 초기에 등장하는 부분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특히 부동산관련 기사 중 특정 용어나 내용이 반복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투자 시점이라고 보면 된다.

언론매체에서 호의적 기사가 여러번 등장하고 '호황', '투자이익이 높다'는 등의 기사가 자주 등장하면 투자 시기로서는 이미 늦은 시점이라고 판단하면 된다. 언론매체는 앞서가기 보다는 현재 시점의 상황을 다루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세째는 섬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로 뛰어야 한다. 현장 답사와 등기권리 확인은 발품으로 완성된다. 하지만 무작정 다니기 보다는 인터넷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 좋다.

경매'공매에 관한 정보는 대법원 경매정보 (www.courtauction.go.kr) 자산관리공사 공매정보 (www.onbid.co.kr) 등을 활용하면 체계적이고 상세한 자료를 볼 수 있다.

경'공매에 대한 경험이 없는 경우는 대한공경매사협회 (www.kobida.com)에 소정의 교육료를 지불하면 기초교육을 받을 수 있다.

부동산 거래에 따른 시세정보는 부동산관련 대형 포털사이트를 기초로 하고 건설교통부 (www.moct.

go.kr) 사이트나 부동산 실거래 신고사이트 등을 이용하면 보다 정확한 시세를 알 수가 있다. 최종 투자결정을 하기 전에 인근 부동산이나 주변사람들에게 정보를 확인하는 것도 좋다.

무엇보다도 부동산은 직접 투자 상품이므로 투자에 대해서는 본인 스스로 책임을 가진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053)741-0866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