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 김태국 교수가 2005년 7월과 2006년 6월 '사이언스'와 '네이처' 등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에 발표한 2편의 논문이 조작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KAIST가 해당 교수를 포함해 연구활동이 없는 교수 6명을 퇴출시키기로 결정함으로써 학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김 교수의 논문 조작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논문 조작 사건을 빼닮았다. 김 교수는 세포내 철 성분을 자석 원리를 이용해서 분리했다는 논문과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 물질을 찾아냈다는 논문 등 2편을 조작, 발표한 것이다. 발표 당시 노벨상 수상감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김 교수의 논문 조작은 황 교수의 논문 조작사건으로 한창 시끄러운 때에 이뤄졌다는 사실에서 최소한의 학자적 양식마저 의심케 하는 한편 논문 조작 표절 관행의 심각함을 짐작케 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황 교수 사건 때와는 달리 KAIST가 스스로 논문 조작 사실을 밝혀냈다는 점이다. 국제사회에서 한국 학자들의 신뢰도에 멍이 들게 한 논문 조작이지만 이를 자체적으로 밝혀내 해당 학술지에 통보함으로써 KAIST의 신뢰도를 지켜낸 셈이다.
KAIST는 이와 함께 연구 부진을 이유로 김 교수를 포함한 6명의 교수를 재임용에서 탈락시켰다. 철밥통으로 치부되는 교수 사회에 일대 사건이 아닐 수 없다. 대학들은 그동안 교수 재임용 심사를 대부분 형식적인 통과의례로 전락시켜 왔다. 스스로가 대학 발전을 가로 막아온 것이다.
우리는 KAIST의 조치에서 새로운 희망을 본다. 다른 대학들도 KAIST의 용단을 타산지석으로 삼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