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사정 라인 '영남 편중' 논란

입력 2008-02-29 10:30:05

이명박 대통령이 28일 국정원장에 경남 남해 출신의 김성호 전 법무장관을 임명한 데 대해 사정라인 영남지역 편중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날 김 국정원장 내정자와 김경한 법무장관 임채진 검찰총장, 어청수 경찰총장은 물론이고 이를 총괄할 청와대 이종찬 민정수석까지 모두 영남출신이다. 김 법무장관은 경북 안동이 고향이고 임 총장은 김 국정원장 내정자와 같은 경남 남해다. 또 어 청장도 경남 진양이고 이 수석도 경남 고성이다. 이밖에 청와대 민정수석실 김강욱 민정2비서관도 경북 안동이다.

이같이 사정라인이 모두 영남출신으로 짜여진데 대해 통합민주당 등 야권은 '영남향우회'라고 비아냥거리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권력 주변의 비리를 감시하고 차단해야 할 사정기관의 수장들을 같은 지역 출신이 맡을 경우 사정기관 본연의 기능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그것이다.

통합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명박 정부의 사정라인은 기껏 영남 향우회냐"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국정원장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통해 지역편중 인사문제를 집중 제기하기로 했다. 자칫 권력기관장 편중인사 논란은 부동산 투기의혹 등 각종 의혹으로 장관 내정자 3명이 중도하차한 '인사파동'과 맞물려 집권 초반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도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와 관련 "지역안배도 고려했지만, 이번(국정원장) 경우는 적재적소에 꼭 필요한 분을 인선한다는 것이 우선적인 원칙이었다"며 "권력기관장이 한 지역에 편중됐다지만, 감사원장과 국세청장은 각각 호남과 충청 출신"이라고 덧붙였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