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에세이집 '사라져가는 수공업자'

입력 2007-12-29 07:00:00

'노동자 아닌 노동자'에 대한 찬미

2006년 9월 29일. 대구 가톨릭병원에서 한 사진기 수리공이 조용히 숨을 거뒀다. 그는 대구에서 소문난 25살의 젊은 수리공 김성민이었다. 전국 유명 작가들의 수동 카메라의 수리를 도맡아 온 그였다.

그때 병원 복도에는 40여 명의 사진작가들이 그가 고친 사진기로 찍은 100여 점의 사진을 걸어 그의 마지막 길을 애도했다.

그리고 2007년. 대구 민예총은 사진과 미술, 연극 등에서 그와 비슷한 위치에 있던, 평범하지만 위대한 수공업자의 삶에 바치는 전시회를 이어갔다.

'사라져가는 수공업자'(삶이보이는창 펴냄)는 '한국의, 숙련된, 남성, 35세 이상, 정규직, 노동자'라는 한국 노동자에 대한 다수적 규정에서 배제된 이들을 찬미하는 사진 에세이집이다.

'빵은 소녀를 닮았다.'는 제과제빵사 이학철 씨, 바다로 출근하는 선박 수리공 황일천 씨, 가위질로 반세기를 보낸 이발사 문동식 씨, '빵구' 떼우는 것이 맹장수술하고 비슷하다는 자전거 수리공 임병원 씨, 정밀 세공사 김광주 씨, 밀리미터(mm)와 싸우는 철구조물 제작사 김기용 씨. 이들은 현대에 살지만 노동은 수공업적(?)이라는 점에서 '현대를 살고 있는 근대인'이다.

다큐 사진작가 조성기, 강제욱, 안성용, 안중훈, 정윤제, 장석주 등 6명이 작업한 사진들과 사인이자 르포작가인 박영희 씨가 그들의 삶과 노동을 취재한 글로 엮었다.

함께 살고 있지만 다른, 점점 사라져 가는 우리 시대의 장인을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내고 있다. 134쪽. 1만 1천 원.

김중기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