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악의 기름유출 사고로 서해안이 초토화된 가운데 경북 동해안지역도 19년 전에 침몰된 경신호의 기름회수가 아직까지 모두 이뤄지지 않아 어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4월 경신호 잔존유 회수를 위해 올해부터 무인잠수정을 이용, 배 위치를 확인해 구멍을 뚫은 후 로봇으로 배안에 관을 주입해 남은 기름을 회수하기로 했다. 33억 원을 들여 개발한 이 장비로 올 상반기부터 작업을 시작하기로 했지만 해양부는 예산과 기술상의 문제로 사업추진을 재검토하기로 하면서 실행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어민들은 "지금도 경신호에서 잔존유가 새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조선인 경신호(995t급)는 지난 1988년 울산 온산항에서 벙커C유 2천560㎘를 싣고 묵호항으로 가던 중 기상악화로 좌초, 포항 대보면 동쪽 5.6km 해상에 침몰되면서 기름 1천900여㎘가 바다로 유출됐다.
이 사고로 당시 영일만 일대 어장 170여 개소가 황폐화되고 경주에서 울진까지 42㎞에 걸친 동해안 청정바다가 기름으로 오염되는 재앙이 발생해 막대한 경제적, 환경적 피해를 입었다.
포항환경운동연합 강호철 의장은 "환경재앙을 막으려면 잔존유 회수가 아닌 경신호 자체를 인양해 불안의 싹을 잘라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