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배추 속은 다 어디로 갔어?"
"조 서방이 다 먹었나봐."
"우리, 우리꺼 말고 형님이 담근 저 예쁜 김치 갖고가자."
예천 임씨 금양파문중 금포고택 형제들은 매년 함께 모여 김장을 한다. 부산·창원·이천 등 전국 곳곳에서 모인 3남2녀 다섯 가족에다 어머니까지 합하면 23명이나 되는 대식구다. 김장하는 날이면 모든 집안 식구들이 고향집으로 모이는 통에 조용하던 고택은 소란스러워진다.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의 금포고택은 315년 전 지은 집으로, 전형적인 입 구(口)자형 한옥이다. 사랑방이 유난히 높이 위치해, 당시 집 주인의 위세를 말해준다. 고택은 생활에 필수적인 부분을 제외하곤 고스란히 보존되고 있다. 이 종가는 어머니 박차생(81) 씨와 아들 임영하(52) 씨 등이 원형 가까이 보존하며 지키고 있다.
이날 김장에 사용한 배추는 150여 포기. 이 모든 배추는 집 앞 텃밭에서 벌레를 일일이 손으로 잡아가며 무공해로 기른 배추다. 고추는 햇볕에 내다 말린 태양초 고추이며 천일염을 사용한다. 맛있기로 소문난 이 종가 김치의 숨은 비결은 물.
금소리 물은 바로 받아먹을 수 있을 정도로 깨끗할 뿐 아니라 예로부터 물 좋기로 유명한 곳이다. 강경새우와 추자도 멸치젓 등 질좋은 재료를 버무려 맛은 저절로 따라온다. 다시마와 멸치를 우려서 사용한다. 이날 사용된 재료의 양도 대단하다. 고추 40근, 무 30개, 각종 젓갈류는 총 20kg도 넘는다.
요즘 찾아보기 힘든 대규모 김장 담그기를 진두지휘한 사람은 바로 예천김씨 금양파문중 금포고택 종부(宗婦) 박금화(53) 씨. 박 씨는 "김장에 좋은 재료 외엔 특별한 비결이 없다."며 손사래를 친다. 그러나 김장하는 솜씨가 속된 말로 '장난이 아니다'. 김장 준비부터 담그는 손놀림, 그리고 맛도 최고다.
박 씨의 솜씨는 김장 뿐 만이 아니다. 종가를 지키고 노년을 준비하는 '준비된 종부다.' 이를 위해 문화재 공부는 물론 안동포 만드는 법, 민화 그리는 법 등을 배우고 있다. "제가 가장 존경하는 시아버님이 3년 전 돌아가시면서 집안에 쌓인 고문서들을 정리해야 했어요. 안동문화원에서 3년간 문화재를 공부하고서야 겨우 고문서에 눈뜰 수 있었죠."
그가 안동포에 직접 그린 민화는 하회마을 등 전통상품 판매소에서 판매되고 있다. 민화를 배우기 시작한 것은 전통을 지키려는 마음과 닿아있다. "안동포는 여름밖에 사용하지 못하잖아요. 이를 공예품으로 만들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데다 사계절 사용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예요."
그 힘들다는 종부 역할이 박 씨에겐 오히려 자랑이다. 인터뷰 내내 가문 자랑이 이어졌으니 말이다. "우리 가문은 효를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해요. 요즘도 한 달에 한번 빠지지 않고 산소를 찾아 벌초를 합니다. 어릴 때부터 효와 우애를 중시한 교육 덕분에 형제들 간에도 얼굴 한번 찌푸린 적이 없죠." 조상인 금포 임정한(1825~1884)의 한시 매력에도 푹 빠져, 금포 추모 기념회도 추진 중이다.
그는 올해부터 고택 체험을 진행하고 있다. 김치, 된장, 메주 쑤기, 된장·고추장 담그기, 국화차 만들기, 제사 체험 등 종류도 여러 가지다. 금포고택 김치맛이 입소문이 나, 김장김치를 주문하는 곳도 늘고 있다.
"요즘은 종가를 지키는 젊은 사람들이 없어 안타까워요. 하지만 여기서 고향을 지키며 살아야 하는 것이 당연하니까, 저는 할 일이 너무 많아요. 고택을 지키면서 제 노후를 풍요롭게 살기 위한 준비입니다."
최세정기자 beaco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