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월요일은 대구가 도시철도 시대를 연 지 만 10년 되는 날이다. 地下鐵(지하철) 1호선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중앙로역∼진천역 구간 10.3km에 전동차가 다니기 시작했던 게 1997년 11월 26일이었기 때문이다. 다음해 2월 5일엔 1호선 전 구간이 착공 7년 만에 개통됐고, 다시 7년이 흐른 2005년 10월 18일엔 2호선까지 영업 운행을 개시했었다. 두 노선의 연장 사업도 더디게나마 진행돼, 먼저 1호선 대곡 구간이 완공된 데 이어 지난 6월에는 2호선 영남대 구간도 착공됐다.
이렇게 진행돼 온 대구 도시철도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심정은 그러나 참으로 복잡하다. 첫 구간 개통 시점은 대기업들이 잇따라 쓰러지고 외환 위기까지 덮쳐 나라가 뒤숭숭하던 시절이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그때 1호선 개통이 지역민들에게 줬던 성취감은 상당했다. 그제야 대도시답게 지하철까지 갖추게 됐다는 자부심도 작용했겠지만, 상인네거리 지하공사장 도시가스 폭발사건이라는 초유의 희생을 지불하고 이뤄낸 일이어서 더욱 그랬을지 모른다. 1995년 4월28일 아침 등교시간에 일어난 그 사고로 무려 101명이 목숨을 잃고 202명이 큰 상해를 입었었다. 하지만 어려움은 그것으로 끝난 것도 아니었다. 2003년 2월18일엔 중앙로역에서 방화사건이 발생해 또 192명이 목숨을 잃는 처참한 상황이 벌어졌다.
대구 도시철도의 역사는 세계 어느 도시의 대중교통사에도 없을 그 숱한 고락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제 모습도 '地上鐵'(지상철)로 바뀌면서 이름마저 '지하철'이 아닌 '도시철도'로 뭉뚱그려져 불리게 될 참이다. 그 첫 노선인 3호선이 내년 착공을 앞두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4호 순환선 건설 또한 실현되리라고 광역교통계획이 약속했다. 더불어 1호선 서부 종점은 화원(명곡)까지 연장된 뒤 경전철로 바통이 넘겨져 위천으로 뻗어나가고, 위천에서는 또다시 현풍∼구지공단(달성2차) 노선과 고령 노선으로 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1호선 동부 종점도 현재의 안심에서 하양으로 연장된 뒤 경전철을 이용해 2호선 종점인 영남대 쪽으로 연결토록 구상됐다. 2호선은 서부 노선의 성서공단 즈음에서 경전철로 연장돼 성주까지 이어 달리도록 밑그림이 그려졌다.
하지만 우리는 이 같은 장밋빛 비전과 함께 도시철도 시대 10주년이 우리에게 던지는 과제 또한 충분히 銘念(명념)하고 있다. 어떤 방법으로든 교통분담률을 높여 이 대도시의 교통난과 대기오염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동시에 운영 수지 또한 개선해 내는 것이 그것이다. 우리 모두 그 목표를 다시 새기고 앞으로 10년을 더 열심히 뛰어야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