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식경제구역 指定 정치권은 뭐하나

입력 2007-11-07 11:45:15

대구상의 등 지역 경제단체와 기업인들이 '지식창조형'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에 힘을 싣기 위해서다. 전국에서 경제자유구역과 자유무역지대가 없는 유일한 지역이 대구와 경북이다.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이뤄져야 한다.

지역 경제의 피폐상은 여러 지표로 나타난다. 대구는 십수 년째 1인당 지역총생산(GRDP)에서 꼴찌를 면하지 못하고 있고, 경북 역시 구미와 포항을 제외한 경북 북부권은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이다. 최근엔 구미와 포항마저 성장 정체가 완연하다. 그 돌파구가 지식서비스산업 육성 등을 통해 지역의 발전 제약 요인을 극복하는 한편 성장 역량의 제고를 도모하는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이다.

따라서 지역 경제계는 물론 대구시와 경북도민이 힘을 모아야 한다. 그래야 대구시와 경북도가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지역 현안을 중앙정부에 '구걸'하는 대신 '요구'하는 당당함을 갖출 수 있다. 하지만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은 지역 현안을 수수방관하는 모습이어서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대선 전투병' 노릇만 제대로 하면 내년 총선의 공천이 보장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모양이다.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지역의 사활이 걸린 문제다. 이처럼 중요한 현안을 외면하는 지역 국회의원이 있다면 내년 총선에서 심판해야 한다.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뿐 아니라 국회에 제출된 2단계 국가균형발전 관련법안도 수도권 의원들의 조직적 저항으로 표류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 국회의원들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지역 경제계의 몸부림이 정치권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