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창호 반빈곤 네트워크 상임활동가

입력 2007-10-22 07:35:34

"모두가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노력해야죠"

"외환위기 극복 프로그램이 오히려 비정규직을 양산했고, 신빈곤층을 키워 양극화를 심화시켰습니다. 이제 빈곤은 개인의 책임이 아닙니다. 사회·구조적 모순의 문제로 접근해야 합니다. 빈곤은 개인의 기본권이 박탈당한 문제입니다."

17일 UN이 정한 세계빈곤철폐의 날을 맞아 대구에서 인권운동연대, 민중행동 등 11개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해 '반빈곤 네트워크'를 결성했다. 반빈곤 네트워크에서 상임활동가로 일하고 있는 서창호(35·인권운동연대) 씨를 만났다.

서 씨는 "인권운동하는데 수직적 조직문화인 직책이 필요가 없네요. 그냥 활동가로 해주세요."라며 직책에 대한 해명성 발언으로 말문을 열었다.

서 씨는 빈곤의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해결도 다각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빈곤은 주거, 교육, 임금, 생계비, 비정규직 악법 등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로 맞물린 문제의 실타래를 한꺼번에 풀 수는 없어요. 네트워크는 그래서 노동, 장애, 주민, 인권, 사회 등 각 부문별 운동들을 연대했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대안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서 씨는 현재 대구의 빈곤문제를 큰 틀에서 몇 가지로 요약했다. 우선 대구시가 조례개정을 통해 건설사의 배만 불리는 '무차별 재개발'을 막자는 것. "대구시가 재개발지역 지정고시를 조합원의 80% 동의에서 66%로 낮추는 조례개정을 추진 중인데 통계상 원주민의 재입주는 15%에 머물고 있습니다. 또 세입자 등 재개발지역의 주거빈민에 대한 대책도 없습니다." 또 생색내기용 복지예산이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무분별한 정책 남발도 지적했다. 특히 추운 겨울이 다가오지만 난방비가 없어 고생하는 빈곤층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비싼 도시가스 설치비용 때문에 비싼 세금을 내야하는 보일러 등유를 쓰는 가구가 많다는 것. 이는 정책을 시행하기 전에 어떤 문제를 안고 있는지 실태파악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저소득층을 위한 생활안전자금도 복잡한 절차와 상환 부담으로 '그림의 떡'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빈곤 네트워크는 다음달 빈곤실태를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한 '반빈곤 학교(가칭)'를 발족, 전국의 빈곤 관련 단체 등에서 강사를 초빙해 강좌나 강연회를 열기로 했다. '제대로' 알아야 '제대로' 해결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다.

"대구시가 실체 없는 지역살리기 이데올로기로 지역특구, 지역어젠다, 기업살리기 등 각종 일자리 창출성과를 알리고 있지만 비정규직으로 점철된 그 일자리의 양과 질에 대해서도 짚어봐야 합니다. 반빈곤 네트워크는 사회 전반적으로 만연한 빈곤문제를 하나에서 열까지 짚어나가며 모두가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서상현기자 ssang@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