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한잔의 단상] 생일을 자축하며

입력 2007-10-18 16:12:58

땅바닥에 길게 드러누운

팔자 좋은 노을을 본다.

그리고 이렇게 비스듬히 앉아

노을과 각도를 맞출 수 있는

나의 행복을 본다.

참으로 긴 세월

모질게도 슬픈 이야기 속에서 만들어진 내가

이렇게 아름다운 미소를 가질 수 있음을 돌이킨다.

보잘 것 없이 작았던 한 마리 애벌레가

화려한 날개 짓을 하려고 웅크린 모양이 장하다.

추운 겨울날

불붙은 연탄의 구멍을 세어가며

물을 부어야 했던 나날들을,

새우깡 한 조각을 토막 내어

한잔에 한 번씩 빨 수밖에 없었던 나날들을,

그래서

걸을 때면 항상 발밑에서

출렁거리는 물소리가 들릴 만큼 삼켜야했던 눈물들을,

이제

그 기억만을 태우고도 겨울을 날 수 있을 만큼

소중한 내가 되어버린 나를,

나는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마음껏 태울 수 없었던 연탄일망정

그 연탄을 위해 인생을 바친 내님이,

쓴 소주와 돌려가며 핥아야 했던 새우깡을 위해

청춘을 살라야 했던 내님이,

가끔씩 머리끝까지 차오른 눈물 때문에

소리조차 낼 수 없었던 나를 보다듬어시던 내님이,

아직도 나를 지키고 계시기 때문이다.

내 몸뚱아리 어느 한 조각에도

내님이 서리지 않은 구석이 없고

토하는 숨결자락에

내님이 묻어나지 않는 곳이 없다.

그러한 나를

내 어찌 소중히 여기지 않으리오.

나의 기쁨이 내님의 슬픔을 덜고

나의 즐거움이 내님을 편하게 하는데

내 어찌 나를 슬프게 할 수 있으리오.

내가 태어난 이날을 자축하며

너무나 기쁜 마음으로 내님을 그린다.

불초

이정태(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