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함께-이준관 作 '가을 떡갈나무숲'

입력 2007-10-17 07:39:04

떡갈나무숲을 걷는다. 떡갈나무잎은 떨어져

너구리나 오소리의 따뜻한 털이 되었다. 아니면,

쐐기집이거나, 지난 여름 풀 아래 자지러지게

울어대던 벌레들의 알의 집이 되었다.

이 숲에 그득했던 풍뎅이들의 婚禮(혼례),

그 눈부신 날개짓소리 들릴 듯 한데,

텃새만 남아

山(산) 아래 콩밭에 뿌려둔 노래를 쪼아

아름다운 목청 밑에 갈무리한다.

나는 떡갈나무잎에서 노루 발자국을 찾아 본다.

그러나 벌써 노루는 더 깊은 골짜기를 찾아,

겨울에도 얼지 않는 파릇한 산울림이 떠내려오는

골짜기를 찾아 떠나갔다.

나는 등걸에 앉아 하늘을 본다. 하늘이 깊이 숨을 들이켜

나를 들이마신다. 나는 가볍게, 오늘 밤엔

이 떡갈나무숲을 온통 차지해 버리는 별이 될 것같다.

떡갈나무숲에 남아 있는 열매 하나.

어느 山짐승이 혀로 핥아 보다가, 뒤에 오는

제 새끼를 위해 남겨 놓았을까? 그 순한 山짐승의

젖꼭지처럼 까맣다.

나는 떡갈나무에게 외롭다고 쓸쓸하다고

중얼거린다.

그러자 떡갈나무는 슬픔으로 부은 내 발등에

잎을 떨군다. 내 마지막 손이야, 뺨에 대 봐,

조금 따뜻해질 거야, 잎을 떨군다.

신갈, 떡갈, 상수리, 굴참, 갈참, 졸참, 밤나무가 모두 참나무 가족이다. 순한 산짐승의 젖꼭지처럼 까만 도토리를 달고 있는 녀석들이다. 이들은 대개 어릴 적 아버지의 손바닥처럼 넓은 잎을 가졌다. 참나무들이 있어서 가을 숲은 더욱 그윽해진다. 아버지의 품처럼 따스한 가을 숲에 가서 위로를 받고 싶다. 가더라도 도토리는 줍지 않으리라. 불쌍한 다람쥐의 겨울 양식을 빼앗지 않으리라.

장옥관(시인)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