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 선언' 추진 4강 협력…미·중·일·러에 특사 급파

입력 2007-10-05 08:58:52

3,4자 회담 급진전 가능성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종전 선언을 추진키로 합의한 후속 조치로 정부는 5일 청와대와 외교부 고위관계자를 미국·중국·일본·러시아에 대한 급파해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토록 했다.

이날 미국으로 떠난 윤병세 청와대 안보정책수석은 미국 정부당국자와 반기문 UN사무총장을 만나고, 곧바로 중국으로 향해 정부 당국자를 만날 예정이다. 윤 수석이 정전협정 당사국인 미국과 중국에서 종전 선언을 위한 진전된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심윤조 외교부 차관보도 이날 일본, 러시아, EU(유럽연합)으로 파견돼 정부 관계자들에게 남북회담 결과를 설명한다.

앞서 노 대통령은 4일 밤 도라산 남쪽 출입국사무소에서 가진 대국민보고회에서 "김 위원장이 종전 선언을 성사시키도록 남측이 한번 노력해 보라고 말했다."며 "종전선언을 (남북이) 함께 추진하자는 의미"라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부시 미 대통령이 제안한 종전 선언 방안을 제가 김 위원장에게 설명했고, 김 위원장은 기본적으로 동의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한편 노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부시 미국 대통령의 메시지를 김 위원장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그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종전선언 추진 합의가 부시 대통령의 메시지에 따른 것일 경우 3자 또는 4자 회담이 급진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 백악관은 4일 종전선언과 관련, "한국전을 공식 종결 짓는 평화 조약과 미·북 관계 정상화는 북한이 비핵화 합의를 이행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입장을 신속하게 발표했다.

최재왕기자 jwchoi@msnet.co.kr

◆한국전 정전(停戰)=1953년 7월 27일 북한·미국·중국이 휴전 협정을 체결해 6·25 전쟁이 일시 중단된 국제법적 상태가 정전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