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과의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가르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의 출발은 인간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즉, 한 인간의 독특한 특성을 이해하여 그 특성에 가장 부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할 때 교육의 최대 효과를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은 훈련과 달라 인간의 독창성과 창의성을 끊임없이 신장시키는 일을 중요한 목표로 하기 때문에 한 인간이 가진 독특한 특성을 일찍 발견하여 그 잠재력을 극대화시키는 일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개인차의 확인과 활용은 교육의 개별화를 위한 출발점이요 종착점이며, 개인차를 정확하게 측정·진단하지 않고 교육의 개별화를 꾀하는 것은 모래 위에 집을 짓는 것과 같다.
학생의 개인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일은 교사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런데 학생의 개인적인 특성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다름 아닌 부모라는 사실에 어느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자신의 자녀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가장 잘 알고 있는 부모의 입장에서, 그 특성에 가장 부합되는 학습방식을 알고 그에 따라 가정에서 지도를 한다면 가장 이상적인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지 않겠는가? 자녀의 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모가 인식해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역할이 바로 자녀의 학습유형을 파악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다음에 제시한 2가지 학습유형은 현재 선진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교육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학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식을 단시간에 주입하기보다는, 근본적으로 학력 성취의 뿌리가 되는 학생의 학습선호경향을 파악하여 그에 적합하게 가르치고 배우게 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Kolb의 학습유형
Kolb는 학습자가 정보를 지각하고 처리하는 선호 방식을 학습유형이라 정의한다. Kolb는 인간이 학습하는 유형을 확산자, 수렴자, 조절자, 동화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교육적 특성을 분석했다. Kolb가 개발한 학습유형검사지를 통하여 학생의 유형을 쉽게 판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아래의 표는 Kolb의 학습 유형에 따라 권장하는 교수-학습 방안과 각 유형별 특성이 부족한 학습자를 위한 처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Dunn & Dunn의 학습유형
이 유형은 학습자가 특별히 선호하는 정신집중 유형과 학습을 어렵게 만드는 유형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적·사회적·정서적·물리적 변인과 이 변인들의 하위 요인들을 포함한 여러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고 있다. Dunn은 학생들이 특정 학습방식을 선호하는 유형과 학습성취도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현상을 발견하고, 그 차이가 능력이 아닌 다른 요인의 결과 때문인 것으로 믿었다.
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이 학생의 선호유형과 일치하는 학습상황을 제시하였을 경우 학업성취가 향상된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강이철(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 매일신문사와 경북대 사범대가 진행 중인 '자녀를 똑똑하게 키우는 학부모 교실'의 특강 내용을 요약해 싣습니다. 오는 23일 오후 4시에는 오영수 경북대 일반사회교육과 교수가 '경제마인드로 논리적 사고력 키우기'를 주제로 경북대 우당교육관 101호에서 강의합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