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상수도 정책 '요지경'

입력 2007-08-13 10:01:58

수돗물 남아도는데 또 시설 확충…경영합리화 않고 요금 15% 인상

대구시의 방만한 수돗물 정책이 도마 위에 올랐다.

대구시가 수요량을 2배가량 초과하는 수돗물 공급시설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상수도 시설 확충 등을 내세워 상수도 요금을 15% 인상키로 해 논란이 일고 있는 것.

이에 따라 대구시가 요금 인상에 앞서 정수장 시설 폐쇄, 경영합리화 방안 마련 등 시 상수도사업본부의 구조 조정을 선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구시의 수돗물 요금 15% 인상(안)이 시 물가분과위원회를 통과, 오는 9월 대구시의회 임시회 상정을 앞둔 가운데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환경부령에 따라 제2차 수도정비 기본계획과 기술진단 용역(2007년 7월~2008년 10월)을 추진 중인 만큼 용역 결과에 따라 요금 인상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설 확충과 수질 개선을 위한 투자비 확보 등을 요금 인상 요인으로 들고 있다. 상수도본부는 대구의 수돗물 생산단가에 따른 요금수준(지난해 기준)이 82.3%로 서울(96.05%), 부산(85.01%) 등에 비해 낮아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대구의 상수도 공급량은 수요량을 크게 초과하고 있어 시설 확충보다는 축소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두류, 매곡, 고산, 가창, 공산 등 대구 5개 정수장의 수돗물 생산 시설용량은 하루 172만t이지만 지난해 하루 평균 생산량은 97만t에 머물렀다. 이는 정수장 시설을 56.4%만 가동한 셈이다. 요즘 같은 여름철에도 대구의 수돗물 사용량은 하루 105만t에 그치고 있다. 게다가 2008년에는 하루 2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문산정수장(달성군 다사읍 문산리)이 완공돼 수돗물 생산 여유량은 더 늘게 된다.

또 상수도본부는 유수율 제고, 탄력적인 인력 운용 등 경영 합리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남아도는 상수도 시설에 대한 폐쇄와 상수도본부의 인력 감축 문제가 시의회 등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 시의 상수도 정책은 지난달 발주돼 내년 10월까지 시행되는 '수도 정비 기본계획과 기술진단' 용역에 따라 크게 변화할 전망이다. 이번 용역에서는 취·정수 시설 6곳과 배수지 47곳, 가압장 39곳 등을 대상으로 ▷수돗물의 중장기 수급 사항 ▷수도시설의 배치·구조 및 공급능력 ▷기술진단에 따른 수도시설 개선 사항 등을 검토하게 된다.

대구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정수장 시설 폐쇄, 경영 합리화 등 상수도본부의 구조 조정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구시는 시설이 낡은 두류정수장의 폐쇄를 우선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루 31만t의 생산 능력을 갖춘 두류정수장이 폐쇄되더라도 대구의 수돗물 공급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