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매달 10억씩 부담…빠듯한 市살림에 어떻게…
경주시가 문화예술회관 건립을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4대 시의회 승인을 받아 이 사업을 추진했지만 5대 시의회가 "사업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빠듯한 시 살림에 감당할 수 있겠느냐?"며 강력하게 이의를 제기했기 때문이다.
◆20년 동안 매달 10억 원 들여야
황성공원 내 2만 7천925㎡에 건축할 문화예술회관은 지하 2층 지상 5층 연면적 2만 245㎡(6천124평) 규모다. 삼성중공업을 주관사로 한 (주)경주문예회관운영주식회사가 민간투자로 686억 원을 투자한다.
문제는 20년 동안 시가 운영회사에 지급해야 할 전체 예산이 모두 1천872억 원이나 된다는 것. 운영회사의 투자비는 686억 원이지만 20년 동안 연간 2.3%의 물가인상률을 감안하면 시가 지급해야 할 건축비는 1천217억 원. 여기에 20년 관리운영비 490억 원과 부가세 등을 주려면 모두 1천872억 원을 들여야 한다.
이뿐만 아니다. 전기세·수도세, 냉·난방비 등으로 연간 10억 원을, 건물을 지어 넣고 구경만 할 수는 없으니 시립국악단 창단 등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에 연간 30억 원을 별도로 들여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결론적으로 문예회관이 건축되면 시는 매년 120여억 원, 매달 10억 원 정도를 20년 동안 고정 지출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서울시 살림이냐?" 시의회 반대
시의회는 "집행부가 경주 살림을 서울 살림으로 착각하는 것 같다."는 평가다. 이 같은 생각은 9일 열린 시-시의회 간 간담회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이진락 시의원은 "시 연간 수입은 1천200여억 원 규모인데 직원 인건비로 750억 원을 주고 채무 환급에다 국고 지원에 따른 지방비 부담분 등을 감안하면 여력이 없다."면서 "이런 마당에 문예회관 건립 및 운영비로 연간 120억 원을 지출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이상득 시의원은 "회관 건립에 불만은 없으나 추후 시 살림이 좋아지면 하라"고 했고, 이종표 시의원은 축소 의견을 냈다.
특히 상당수 시의원들은 연면적 1만11㎡ 규모의 경주세계문화엑스포 문화센터가 건립되고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유치에 따른 한국수력원자력㈜ 지원사업으로 사업비 1천280억 원이 투입되는 컨벤션센터도 들어서는 만큼 이 두 시설을 문예회관 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으라고 촉구했다.
◆"강행" 시 방침에 논란 깊어질 듯
시는 시의회 주장도 일리는 있지만 천년 고도인 경주에 다양한 문화를 전승, 보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추진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4대 시의회가 승인을 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등 절차를 거쳐 설계까지 나온 만큼 사업을 포기하면 운영회사의 손해배상청구 등이 우려된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시민들이 가세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한 시민은 "경주시가 하수종말처리장 사업도 900억 원의 민간투자로 시행, 부담이 적잖은데 살림을 너무 방만하게 사는 것 아니냐?"고 말했고, 모 시민단체 간부는 "방폐장 유치지원사업이 본격화하면 지방비 부담이 엄청날 텐데 문예회관 건립에 매달 10억 원씩 쏟아부을 여력이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반면 문화단체들은 "경주보다 작은 자치단체도 이미 오래 전 수백억 원을 투자, 문예회관을 운영하고 있다. 천년 고도 경주에 제대로 된 공연장과 전시장을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고 맞섰다.
경주시는 이달 중 동의안을 의회에 제출, 승인을 받으면 11월 착공해 2009년 12월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경주의 8월은 문예회관 BTL사업 실시협약안이 시의회의 승인을 받을 수 있을지 여부로 뜨거울 전망이다. 실시협약안이 승인을 얻지 못하면 사업을 할 수가 없다.
경주·최윤채기자 cy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