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 선거자금 어떡하나?…혼탁 우려

입력 2007-05-29 10:51:23

한나라당이 29일부터 정책비전대회를 갖는 것을 시작으로 당내 경선일정에 사실상 돌입함에 따라 선거자금 문제가 대선 정국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범여권의 경우, 한나라당 경선(8월 21일 이전) 직후인 9월쯤 후보선출을 위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계획하고 있으며, 대통합에 앞서 각 정파(정당)별 경선이 이뤄진다면 그 시기는 앞당겨질 것이다.

게다가 이번 선거에서도 대선주자들이 선거자금 한도액을 초과하거나 불법자금을 사용함으로써 과열·혼탁 선거를 부추기게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행법에 따르면 대선후보별 선거비용 상한액은 465억여 원 정도인데, 이 중 당내 경선후보로 등록한 후 전체의 5%인 23억여 원을 모금할 수 있다.

주요 대선주자들이 경선자금 운영 및 공개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고 있지는 않지만, 선거캠프를 차린 채 대선 행보를 수개월째 계속해왔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그 비용은 만만치 않을 것이다.

한나라당의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여의도 한 빌딩에 2개 층 400평짜리 캠프를 차렸는데 월 임대료만 2천만 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전 시장 및 상근 참모·직원들의 활동비와 차량유지비·국내외 출장비·각종 행사비용까지 합하면 월 비용이 1억 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 경우 여의도의 한 빌딩 2개 층 190평을 캠프로 사용하면서 월 임대료로 840만 원 정도 지급한다는 것. 마찬가지로 상근 직원과 각종 행사비용 등을 감안하면 월 비용은 수천만 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보다는 각종 조직관리 등에 훨씬 많은 비용이 들어갈 것이란 게 일반적인 관측. 선거인단 역시 지난 대선 때의 4만 명에서 23만여 명으로 5배 이상 규모가 커져 경선비용을 늘어나게 할 것이다.

범여권에서도 대선주자들의 행보가 본격화되고 있는데다, 오픈프라이머리를 상정할 경우 선거인단은 한나라당의 10배 수준 이상이 될 것으로 보여 경선비용이 더욱 많이 들어갈 수 있다.

이 때문인 듯 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이번 대선의 불법자금 규모에 대해 응답자 과반수가 2002년 대선보다 늘어날 것으로 봤다. 지난 대선의 불법자금 문제로 경선후보가 의원직을 박탈당했고 선거관계자들은 구속되는 사태가 초래됐으며, 이 과정에서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