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신평동 주민 "36년 묶인 땅 풀어주세요"

입력 2007-05-16 08:54:45

"완충녹지대 묶여 사유재산권 침해" 호소

경부고속국도에서 구미 시가지로 접어드는 신평동 구미TG 앞에는 '도심 속의 섬'이 3군데나 듬성듬성 있다. 구미공단을 조성할 때 완충녹지대로 묶어놓은 곳.

주변지역은 대형 소매점들이 잇따라 들어서는 등 개발추세인데 유독 이곳만 흉한 모습으로 남아있어 구미 관문의 이미지를 흐리게 하고 있다.

이곳은 각종 선거 때마다 후보들의 단골공약이었으나 '해제 약속'은 수십 년째 지켜지지 않고 있다.

신평동 주민들은 지역 낙후의 원인이 되고 있는 완충녹지대의 해제를 요구해오고 있다.

"36년의 세월입니다. 사유재산을 이렇게 무참하게 침해해도 됩니까?"

토지소유자들은 "이젠 더 이상 참지 못하겠다."며 격분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2005년 8월 토지개발추진위원회를 구성, 각계에 호소하고 있다. 주민 박필병(68·신평1동) 씨는 "정부나 시에서 33번 국도를 만든다며 필요 부지는 9년 전에 수용하고 남은 전답은 사방으로 도로가 개설되면서 농지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채 늪지대로 방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평 완충녹지대는 대부분 도로개설에 편입된 후 이제 남은 땅은 3개 지구로 분할돼 9만 2천360㎡가 남아 있다.

개발추진위원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일방적으로 사유재산권을 침해하고 아무 대책도 없이 방치하는 처사가 억울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윤상규(63·신평1동) 씨는 "이 땅이 필요하다면 시에서 매입하든지 아니면 규제를 풀어달라."고 요구했다.

구미시 김해운 건설도시국장은 "이곳 완충녹지 해제 문제는 경북도심의를 거친 후 건설교통부에 계류 중"이라며 "환경부와 농림부 등 관계기관의 검토를 거쳐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결과에 따라 결정된다."고 밝혔다.

구미·이홍섭기자 hsle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