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의 골칫거리 '불법광고물'을 퇴치하기 위한 묘수가 쏟아지고 있다.
도시 미관까지 업그레이드하려는 기초자치단체의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 기술이 갈수록 진화하고 있고, 불법광고물 수거보상제에 따른 민간 참여도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
지난해 말 대구 서문시장 상징 아치엔 '하이플렉스 특수코팅지'라는 이름의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 기술이 첫 도입됐다. 환경 호르몬이 발생하지 않는 원단에 원하는 디자인을 실크 인쇄한 뒤 특수도료로 코팅 처리하는 기법으로 스티커, 청테이프, BOX 테이프, 풀 등 모든 접착제를 차단해 불법 전단지를 절대 붙일 수 없다.
남구청도 2월 대덕맨션과 효성타운 부근 전봇대 56곳에 비슷한 기법의 컬러형 특수 시트(높이 2m 50㎝)를 시범 설치했다. 불법광고물을 차단하는 동시에 남구의 상징 새인 까치를 그려넣어 홍보 효과까지 더했다. 수성구청은 특수 시트와 유액을 사용해 전봇대, 가로등, 신호등의 불법광고물을 봉쇄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203곳의 도로시설물에 구청 로고를 새긴 특수 시트를 두른 뒤 접착제를 차단하는 투명 도료를 칠했고, 올해도 달구벌, 동대구로 시범 가로구간 510곳에 같은 기술을 추가 도입한다. 다른 시·도에서도 톡톡 튀는 신기술이 속속 등장해 인조잔디를 부착하는 서울 서초구는 매연이나 먼지까지 흡수, 공사현장 가림막으로도 재활용하고 있고, 경기 안산시는 단원 김홍도의 그림을 특수도료로 처리해 인쇄한 그림을 교통신호등에 부착,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 이훈 남구청 건축주택과 담당은 "2000년대 초 보기에 좋지 않은 플라스틱 검은색 방지 판이 처음 도입된 뒤 도료와 특수시트 등 불법광고물 부착 방지 기술이 크게 발전했다."며 "조만간 불법광고물이 발 붙일 수 없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불법광고물 퇴치의 또 다른 주역은 2005년부터 도입된 불법광고물 수거보상제. 전단지는 130g당 최대 500원, 현수막은 5m×1m당 500원(초과시 1천 원)씩 지원하는 수거보상제가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 대구시에 따르면 구청 공무원들에 의존했던 2004년 한 해 200만 건에 그쳤던 불법광고물 수거실적은 수거보상제 도입 이후 2005년 1억 4천400만 건, 지난해 2억 4천100만 건 등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2005년 4억 6천200만 원이었던 수거 보상비가 지난해 6억 9천700만 원까지 늘어났지만 불법광고물 퇴치의 탁월한 효과를 실감한 대구 지자체들은 관련 홍보와 보상 금액을 더 늘리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