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금융시장에서 '재주 부리는 곰'에 불과했던 아시아가 독자 생존 방안 모색에 나섰다. 지난 주말 일본 교토에서 열린 제10차 아세안+한'중'일 재무장관회의에서 13개 회원국은 800억 달러 정도의 공동기금을 바탕으로 한 이른바 '아시아통화기금(AMF)' 설립에 합의했다. 이번 시도가 미국 주도의 세계 금융질서 재편의 신호탄이 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국제통화기금(IMF)의 혹독한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울며 겨자 먹기로 감수해야 했던 우리로선 AMF 설립이 기대된다. 더욱이 AMF의 주도권을 놓고 중국과 일본이 다투고 있어 이를 활용한다면 우리나라가 AMF 창설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면서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도 있다. 勿失好機(물실호기)의 지혜를 발휘할 시점인 것이다.
AMF 설립 추진이 탄력을 받은 것은 아시아 국가에 넘치는 외환보유액 덕분이다. 아시아 각국의 외환보유액은 지금의 절반 정도면 충분하다고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지적할 정도다. 풍부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13개국은 하반기부터 2단계 작업으로 각국 분담금 규모를 확정하는 한편 아시아 채권시장을 유로본드에 버금가는 시장으로 만들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AMF 창설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적잖다. 영향력 감소를 우려한 미국과 IMF의 견제, 중국과 일본의 주도권 다툼이 가장 큰 난제다. 중'일의 주도권 다툼이 미국의 견제를 극복할 수 있느냐가 관건인 셈이다. 어쨌든 AMF 창설에 아시아 각국의 공감대는 형성된 만큼 중'일의 다툼을 조정해내면 우리가 주도권을 틀어쥘 수도 있다.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도약하는 지름길도 여기에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