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대구, 전국평균 1.5배 서식"
대구 달성군은 지난 한 달 동안 멧돼지 피해를 입은 묘지가 무려 61기나 됐다. 봄이 되면서 벌레가 들끓고 연한 풀이 돋기 시작한 묘지가 멧돼지에 주된 표적이 되고 있는 것. 이 때문에 달성군은 최근 논공읍과 다사읍 등 7개 읍·면 35개 마을에 대해 멧돼지 등 야생동물 포획을 허가했다. 군 관계자는 "피해가 심해 아예 이장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야생 멧돼지의 피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어 자치단체마다 고민이다. 더구나 중앙정부가 실시한 서식 실태조사(본지 2006년 9월 20일자 1면 보도)가 못 믿을 수준인데다 제시한 대책마저 '탁상공론'이어서 자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환경부는 멧돼지 피해가 해마다 늘자 지난해 9월 6개 광역시에서 멧돼지 서식 실태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대구의 멧돼지 서식 밀도가 광역시 중 가장 높은 5.9마리/100ha로 나타났다. 이는 2005년 전국 평균밀도(3.7마리/100ha)에 비해 무려 1.5배나 높은 것. 하지만 경북은 3.2마리/100ha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이에 대해 관계자들은 경북보다 인구가 많고 산림이 적은 대구에 훨씬 더 많은 멧돼지가 산다는 게 비상식적이라며 조사결과를 신뢰않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광역시별로 명확한 기준이 없이 족적이나 먹이를 찾은 흔적 조사를 하고, 이를 토대로 밀도 계산을 한 때문"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적정한 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해 포획틀이나 포획장으로 멧돼지를 사로 잡은 뒤 서식밀도가 낮은 지역에 방사한다는 환경부의 관리 대책도 비현실적이다. 이동경로가 넓은 멧돼지의 피해가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이 무시됐다는 것.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와 구·군은 야생동물 포획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농작물 피해보상에 나서는 등 자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우선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유해조수 포획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야생동물때문에 농작물 피해를 입을 경우 피해 보상이 가능토록 구·군 조례를 제정키로 했다. 피해면적 330㎡(100여 평) 이상이거나 피해액이 10만 원 이상일 경우 100만 원 한도 내에서 보상해주겠다는 것. 달성군은 이르면 다음달 중 조례를 만들 계획이고, 북구와 동구도 구체적인 조례안 제정을 검토 중이다.
한편 지난해 대구에서 발생한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액 2억 2천800만 원 중 멧돼지에 의한 피해가 1억 3천200만 원(59%)으로 가장 많았고, 고라니 6천700만 원(30%), 까치 2천500만 원(11%) 순이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