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모임 이 단체] 정신대와 함께 하는 시민 모임

입력 2007-04-16 07:51:29

"전 세계의 양심적인 목소리가 이제서야 미 하원을 중심으로 모이고 있습니다. 동아시아와 일본, 그리고 당사국인 한국이 나서서 역사의 수레바퀴를 제대로 돌려놔야 합니다. 일본이 전쟁범죄를 인정하고 이를 사죄하고, 다시는 망언을 일삼지 않을 때 세계의 역사는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것입니다."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의 이인순(43) 사무국장은 분명한 어조로 최근 미 하원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또 지난 15년간 국경을 넘나들며 진행됐던 위안부 할머니들의 활동과 피 맺힌 증언들이 미 하원의 '결의안' 상정이란 결과를 만들어 냈다며 그동안의 활동에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이제서야 국제사회를 중심으로 일본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나와 씁쓰레하기도 하다는 그는 얽힌 실타래가 이제서야 그 모습을 드러냈다며 미 하원 결의안이 채택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펼치겠다고 했다.

우선 시민모임은 미 하원의 결의안 채택 활동과 병행해 지난해 국회와 헌법재판소에 각각 제출한 '결의안'과 '헌법소원 공개 심리 요청'부터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 시민 모임은 지난 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당시 위안부와 원폭피해자 대책 등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며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에 '청구권을 재협상하도록 요구하는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시민 모임은 또 지난해 7월 자국민이 일본에 의해 피해를 입었는데도 정부는 '외교적 보호권'을 무시한 채 협상을 체결했다며 청구권 협정 내용대로 '피해를 입은 자는 제3자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다.'는 조항을 채택, 이들을 보호할 것을 헌법 소원으로 제기했다.

이 국장은 현재 이 같은 일을 하면서 200명이 넘는 시민모임 회원들의 성원을 받고 있다. 1997년 시민모임이 만들어진 이후 후원회원과 자원 활동가 등 200명의 자발적인 동참을 이끌어 낸 것. 하지만 이 국장은 시간이 지날수록 시민들의 관심과 힘이 모아지는 반면 계속되는 할머니들이 생을 마감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에 고개를 떨구기도 했다. 현재 시민모임에는 2000년 당시 21명이었던 위안부 할머니들이 16명밖에 남아 있지 않았다.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리는 수요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로 향하는 30명의 회원들 속엔 할머니들의 모습이 갈수록 줄어든다는 이 국장은 "전쟁 범죄의 희생자들이 모두 떠나기 전 하루 빨리 전범을 인정하는 일본의 사과가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정현미기자 bori@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