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여행] 사과꽃

입력 2007-04-12 17:14:52

과실수들이 꽃을 피우는 계절이다. 살구꽃, 복숭아꽃, 사과꽃 등등. 예로부터 엔 한 해의 이상 기후를 파악하는데 사과꽃을 기준으로 삼았다고 한다. 사과꽃은 기후 조건이 까다로운데서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제 대구 근교에서 사과밭을 구경할 길이 없다. 하얀 사과꽃이 피면 꼭 흰 눈이 내린 것처럼 보여 '눈꽃'이라고 했다. 다행스런 것은 사과 산지를 갖고 있는 지자체에서 사과꽃 축제가 열린다고 한다. 4월에 눈꽃을 맞으러 가보자.

경북 군위 부계면 한밤마을(대율)에 계셨던 고모님 댁을 찾으면 팔공산 자락에 사과밭이 왜 그리 많던지. 그 고모님 덕분에 겨울 내내 사과 걱정은 하지 않고 지냈다. 따뜻한 봄날, 자갈길을 따라 뽀얗게 먼지를 뒤집어쓰면서 달리는 버스를 타고 고모님 댁에 놀러가곤 했다. 조카가 온 것도 잠시 반가울 뿐이고 사과밭에서 하루 종일 보내셨다.

초봄엔 전정, 즉 전지를 하고 4월말 경 사과꽃이 피면 적과를 해야한다. 전지는 쓸모없는 가지를 잘라내고 3,4년차 실한 가지를 골라 나무 모양을 잡아야 한다. 이것을 잘해야 그 해 꽃이 많이 피고 열매도 많이 열린다. 전지를 끝내면 끝내는 대로 또 일이 기다리고 있다. 겨울동안 허약해진 땅에다 원기소 먹이듯이 퇴비와 비료를 주어 튼튼한 땅을 만들어야 한다. 2천여평의 사과 밭이 두 개나 되기 때문에 퇴비와 비료를 갖다 대는 일에 다리가 제멋대로 춤을 춘다. 어릴 때야 사과 따는 재미만 보다가 뼈가 굵어지는 나이가 되어 일손이 딸리면 한 번씩 강제노역(?)을 해야 했다.

하얀 안개사이로 눈처럼 나풀거리는 사과꽃이 필 때면 누구랄 것도 없이 막연한 그리움이 되살아나는 듯 했다. 햇길을 타고 하얀 얼굴들이 겹쳐졌다. 가슴속에 피어나는 그리움이 사과꽃을 따라 덩달아 피어오른 것이다.

그리움도 잠시, 가지 끝에 너 댓 개의 꽃이 피면 중심 꽃은 놔두고 옆에 딸린 작은 주변 꽃들은 따야한다. 전국 유일의 사과연구소가 있는 군위군 소보면의 대구사과연구소 김순경씨는 중심꽃을 '형아꽃'이라 하고 주변의 꽃을 '동생꽃'이라 부른다고 했다. 같이 동행한 일행들이 그러면 동생들이 섭섭해서 안 된다며 그냥 중심꽃, 주변꽃이라고 부르자며 입을 모으기도 했다.

수정이 되어 열매가 맺히면 또 실한 놈을 남겨두고 "적과"를 해야 한다. 적과가 끝나면 이제 사과나무는 잎이 튼튼하고 좋아야 당도가 좋기 때문에 벌레와 전쟁을 해야 한다. 오육백미터가 넘는 약 줄을 당기며 약을 치는 일에 근육통이 생길 정도였다. 일 년 동안 사과 농사 짓는 걸 옆에서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세상에 거저 되는 일이 없구나 하고 깨닫곤 했다. 가을의 달콤한 열매는 농부들의 땀방울을 먹는 거나 다름이 없다.

금호강변 모래땅에서 자라던 사과가 이제는 높은 산에서만 자란다. 최근 6년간 평균 기온은 20년 전보다 0.6도 올랐다. 사과 재배지는 오래전에 '북상'을 시작해 경북 의성을 지나 영주, 청송을 거쳐 충청도와 강원도까지 올라갔다. 사과는 여름철 평균 기온이 26도를 넘지 않고, 겨울철 기온이 10.5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곳에서 재배가 가능할 정도로 기후 조건이 까다로운 과일이다.

오는 21(토) 부터 22(일) 까지 2일간 경북 군위군 부계면 동산 1리, 2리, 남산리 일원에서 '군위 사과꽃 자연과학 체험'이 열릴 예정이다. 사과밭 과학체험으로 사과나무아래에서 중력을 발견한 뉴턴과 관련한 과학 실험이 마을 곳곳에서 코스별로 펼쳐진다. 뉴턴의 제 3법칙인 작용과 반작용, 가속도의 법칙을 모두를 실험하고 직접 기구를 만들어봄으로써 학습적인 효과를 얻는 교육 축제로 치러질 예정이다. 또 사과밭 자연학습은 사과와 사과나무, 사과 밭이라는 자연 환경에서 어떻게 사과 열매가 맺어지는 지 그 과정을 알 수 있도록 해 자녀들의 자연 학습에도 도움을 줄 행사로 기대된다.

그 외 사과 요리 체험, 열기구 체험, 도자기만들기 체험도 열리다고 하니 과학의 달인 4월에 자녀들과 함께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단체가 참가할 경우, 차량도 지원한다고 한다.

연락처 053)246-6974~5 www.applemission.com

김경호 아이눈체험교육원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