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갖가지 축제가 우후죽순처럼 솟아났다. 대부분 세금을 쏟아부어 펼치는 잔치들이다. 과연 이들 축제가 무슨 소득이 있을까, 지역과 주민을 위한다는 허울을 앞세운 민선장들의 선심성 예산 낭비가 아닐까 하는 의문이 팽배하다.
경상북도가 최근 '지역축제 발전 방안'을 마련, 경쟁력 없는 지방축제를 퇴출시키기로 한 것은 적절하다. 1개 시'군의 축제를 2개 이내로 제한하고, 권역별로 클러스터화해서 특색과 경쟁력을 갖춘 축제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북부권은 산악'자연'생태 환경, 동해연안권은 해양'레포츠, 남부도시권은 문화'예술 축제로 클러스터화 하고, 구미와 포항엔 첨단모바일'철강 등 산업기반형 축제를 육성한다는 것이다.
축제는 주민 단합을 촉진하고 지역 홍보와 관광 진흥 등 나름대로의 순기능을 갖고 있다. 실제로 효과적인 집행으로 과실을 톡톡히 챙기는 축제도 없지 않다. 그러나 대다수 축제들은 제목만 달랐지 실속 없는 상투적 행사로 일관해 해가 갈수록 주민과 관광객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경북도내 23개 시'군에서 한 해 동안 치러내는 축제가 모두 115개다. 한 지자체당 평균 5개다. 심지어 크고 작은 축제가 10개가 넘는 곳도 있다. 연중 내내 축제로 지샌다고 해서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흥청거리는 모양새다. 지자체의 재정은 그렇게 탕진해도 좋을 만큼 여유롭지 않다. 태평성대라 하더라도 정도가 있는 것이다.
경북도가 모처럼 마련한 방안이 완전하다할 순 없겠지만 기본 방침에는 기초단체들도 동감할 것으로 믿는다. 소모적인 축제 정비 방안이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일선 시'군의 적극적인 동참과 협조를 당부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