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교 영어교육)초등 영어 교육의 과제

입력 2007-04-03 07:38:34

지식기반사회에서 국제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영어는 서로 간에 의사소통과 유대를 가능하게 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날로 커질 것이다. 따라서 미래사회에서 살아갈 초등학생들에게 영어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능력은 학교에서 길러야 할 핵심적인 능력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능력은 국가 간, 문화 간 이해와 신뢰를 통하여 우리나라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영어 교육은 공교육으로 시행되어 온 지 벌써 10년이 되었다. 그동안 초등 영어 교육에 종사하는 모든 분들의 노력으로 초등 영어 교육이 그 입지를 튼튼히 하였다. 이를 계기로 앞으로의 10년은 초등 영어 교육을 더욱 발전시켜서 우리나라 영어 교육이 크게 도약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국가에서는 2006년 8월 25일 초·중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을 부분 수정 고시하였다. 제7차교육과정에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최종 단계의 영어 교육 목표만 제시하였으나, 부분 수정 고시에는 전체 목표 아래 초·중등 목표가 분리되고, 언어 재료 중 문화 항목을 소재에 포함했다는 것이 다르고, 앞으로 초등학교 1·2학년에도 영어가 지도되도록 하는 것이 크게 달라졌다. 이러한 영어 교육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각 시·도별 연구학교를 3, 4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물론 연구학교의 운영결과가 어떻게 나타나게 될지 모르지만, 초등 영어 교육의 보다 나은 성과를 위해서는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지도 시간 수의 확보 문제이다. 외국어를 습득하는 데는 모국어 습득 때처럼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주당 1, 2시간 수업 시수로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지도 시간 수를 늘리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는 지도자의 확보 문제이다. 현재 초등학교에는 영어를 전공한 교사가 있기는 하나 직접 담임으로서 지도할 인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초등교원 양성기관에서 영어과 전공자를 많이 배출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는 영어를 지도할 수 있는 원어민 교사 확보 문제이다. 현재 초·중등학교에 배치된 원어민 교사 수는 매우 적은 수이다. 그러므로 국가 차원에서 예산을 확보하여 초등학교에 보다 많은 수의 원어민을 배치하여 학생들이 원어민과 함께하는 시간을 많이 확보해야 할 것이다.

넷째는 지도할 자료 확보 문제이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 CD-ROM 타이틀, 오디오 자료 등을 개발·활용하고 있으나, 교사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더 다양한 형태의 자료가 개발·보급돼야 한다.

위와 같은 과제들이 해결된다면 우리의 영어 교육은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인과의 의사소통을 위해서 많은 돈을 지불해 가면서 해외 어학연수를 보내고 있는 요즈음, 해외 어학연수 없이 우리나라에서 배운 영어가 그대로 실생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학교 교육이 그 역할을 다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김성문 대구 성곡초등학교장(대구 초등영어과 교원연구회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