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발하는 소비자 민원에 대응할 공동대응팀이 떴다.
대구시, 경북도, 대구공정거래사무소, 소비자단체가 소비자 피해가 많거나 피해가 예상되는 민원에 발 빠른 대응을 하기 위해 공동대응팀을 26일 만든 것.
공동대응팀은 빈발 소비자 민원 주제를 분기별로 선정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조사, 교육, 캠페인 등을 실시한다. 공동대응팀은 첫 대응주제로 '자판기 민원'을 선정했다.
지난해 시·도와 지역 소비자단체에 접수된 '자판기관련 소비자피해'는 51건에 피해금액도 2억 5천5백만 원(건당 평균 500만 원).
또 경북도소비자보호센터가 자판기 관련 피해실태를 지난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450개의 자판기 구매 업소 가운데 133개(29%)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대응팀은 자판기 피해예방 안내문을 2만 부 제작·배포하고 자판기 피해예방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다음은 공동대응팀이 밝힌 대표적인 피해사례들이다.
▶사례1
지난 2월 대구 달서구에서 식당을 개업한 김모 씨는 설치비 없이 전기요금만 내면 되고, 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철거하겠다는 자판기 방문판매사원의 말을 듣고 자판기를 설치했다. 김 씨는 도장만 몇 군데 찍으면 된다는 영업사원의 말에 도장을 찍어줬는데 뒤이어 할부금융신청서가 날아왔다. 김 씨가 철거를 요구하자 판매사는 자판기 가격 520만 원의 30%를 위약금으로 청구했다.
▶사례2
주모 씨는 지난해 9월 D유통사원이 찾아와 월 7천 원만 통장에 넣어두면 된다며 필요한 서류인 주민등록등본을 뗄 수 있게 위임장을 작성해달라는 말에 위임장을 써주고 자판기를 설치했다. 주씨는 의심이 가 동사무소에 확인해보니 판매사원은 인감을 떼어갔고, 이후 곧바로 500만 원에 이르는 자판기 계약서를 보내왔다.
▶사례3
이모 씨는 지난해 2월 자판기 임대계약을 맺은 뒤 임대금 660만 원 가운데 360만 원을 결제했지만 매매계약으로 돼 있었다. 또 판매사원에게 취소를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