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소외란 자유로운 존재로서의 인간, 주체로서의 인간이 객체로 전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원시인들은 어떤 물건을 만들 때 재료를 구하고 다듬는 일에서 완제품이 나오기까지의 모든 단계에 주체적으로 관여했다. 한없이 힘들고 어려운 과정이지만 작업이 끝났을 때 창조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었고, 가슴에는 성취의 환희와 희열이 넘쳤다. 산업혁명 이후 분업이 가속화하면서 인간은 거대한 공장에서 하나의 부분품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자동차 조립공장에서 특정 부품의 조립만을 담당하고 있는 노동자는 노동의 과정이 단순 반복 작업이기 때문에 일이 지루할 뿐만 아니라 완제품이 나와도 자신이 그것을 다 만들었다는 창조의 기쁨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창조의 주체인 인간이 거대한 조립공장의 부품 즉, 객체로 전락하게 되는 것이 바로 노동의 소외이다.
교육에서 소외란 무엇인가? 학생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자신의 주체적인 결단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공부하면서 능동적으로 무엇인가를 깨우칠 때, 힘은 들지만 가슴 뿌듯한 자부심과 성장의 기쁨을 맛보게 된다.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교육이 과열되면서 학습의 주체인 학생보다도 객체라 할 수 있는 부모님과 선생님이 더 극성스럽다고 할 수 있다. 학습의 주체인 학생이 부모님과 학교가 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즉 객체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부모의 한을 풀기 위해 맹목적으로 자식을 몰아붙인다거나, 학생 개개인의 성향과 취향은 무시한 채 획일적인 방법을 강요할 때, 주객이 전도되는 소외가 교육현장에서 발생한다. 일요일에 늦잠을 좀 자고 싶지만 부모님의 잔소리가 싫어서, 가정의 평화를 위해 할 수 없이 독서실이나 도서관에 나가야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학생은 부모님의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공부에는 몰두하지 않고 엎드려 자거나 딴전을 부릴 가능성이 높다. 타의에 의해 행동할 때 공부든 일이든 즐거울 리가 없고 생산성이 있을 수가 없다.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부모와 교사는 분위기를 조성해 주고 적절한 조언을 해 주되 최종적인 선택과 결정은 학생 스스로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 때 인내심과 기다리는 지혜가 필요하다. 조급하게 모든 것을 해결하려 할 때 학생은 반항하는 경향이 있다. 학생도 누굴 위해 공부를 해 준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하기 싫지만 부모님이나 선생님을 위해 할 수 없이 책상 앞에 앉아 있어 준다고 생각할 때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학생은 자신의 미래를 위해 스스로의 결단에 의해 자발적으로 공부해야 한다.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여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성취감과 보람을 느낄 때, 부모님과 주위 사람들에게도 부차적인 기쁨을 주게 된다. 이 세상은 주체적인 마음가짐과 능동적인 자세로 스스로 노력하는 사람들에 의해 유지되고 발전한다.
윤일현(교육평론가, 송원학원진학지도실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