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22일 "이달 중 탈당하겠다."고 선언함에 따라 열린우리당 내 친노(親盧) 인사들의 구심력이 약해지는 반면 통합신당 추진 작업은 탄력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당내 통합 신당론자들은 이번 대통령의 탈당선언으로 정계개편 가속화를 위한 신호탄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우선 청와대·정부의 국정실패가 여당의 부담으로 전이돼 지지율 하락을 면치 못했다고 판단해 이번 기회를 계기로 통합신당의 깃발을 본격적으로 올려 재도약의 전기가 마련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 정부에 대한 여론의 반감을 덜어내는 한편 외부세력과의 연대 작업도 한층 수월해 질 수 있다는 판단도 하고 있다.
이와 관련, 통합신당론자 측 핵심인사는 23일 "노 대통령이 당의 진로문제에 개입할 명분이 없어졌다."며 "3월 중 대통합신당 추진을 위한 공식 자리를 마련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당장 외부세력과의 연대 중 탈당파 의원들과의 재결합이 관심거리다. 탈당그룹의 가장 큰 탈당 이유가 노 대통령의 색깔을 지우기 위해서인데, 이 부분이 정리됐으니 탈당파 의원들이 열린우리당과 다시 합치지 못할 이유도 없어지게 된 셈.
특히 탈당파 의원들이 탈당과정에서 얼굴을 붉혔던 '당사수파'와의 관계개선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친노 성향이 강한 사수파 의원들의 구심력이 약해진 탓에 탈당파에 비판의 목소리가 사그라들 것이고 자연스럽게 관계개선 작업이 진행된다는 것.
통합신당론자 중 당 잔류파들은 오히려 "대통령도 탈당하는데 친노세력을 계속 안고 가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당사수파들을 압박, 통합신당 추진을 거세게 몰아부치는 형국이다.
하지만 당내 일각에선 "대통령이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겠다고 한다면 당적을 보유하나, 탈당하나 큰 차이가 없지 않느냐?"는 비판적 시각도 일고 있다. 잠재된 갈등의 불씨가 다시 확산될 수도 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한편 열린우리당은 23일 저녁 천안 정보통신연수원에서 의원 워크숍을 갖고 대통합신당 추진방향과 당진로 등을 논의한다. 이날 워크숍 결과를 토대로 대통합신당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다음주부터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