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분열, 무얼 위한 '헤쳐 모여' 인가

입력 2007-02-07 11:30:27

열린우리당 국회의원 23명이 어제 집단 脫黨(탈당)했다. 예견됐던 일이지만 6명이 개별 탈당한 데 이은 일이며, 후발 탈당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과연 무엇을 위한 '헤쳐 모여'인지 도무지 납득하기 어렵다. 어제 이들은 '국민통합신당'을 만들기 위해라고 밝혔으나 국민은 안중에도 없이 權力(권력) 잡기에만 급급한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없다.

大選(대선)을 겨냥한 이 같은 이합집산이 집권당의 오만과 독선, 실패와 추락이 부른 '自業自得(자업자득)'이라 하더라도 失政(실정)과 民意(민의)에는 아랑곳없는 행태로밖에 볼 수 없다. 정치권에서도 '기획 탈당' '위장 이혼' '뺑소니 정당' '권력만 좇는 정치낭인' '여당 2중대' 등 온갖 비난이 쏟아지고 있듯이, 무슨 노림수가 어떻게 불거질지 우려된다.

열린우리당은 이미 원내 110석의 제2당이 됐고, 오는 14일 전당대회에서 갈등이 악화된다면 탈당이 늘어날 건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정동영 전 의장도 '대통합의 바다에서 만나자'고 말한 바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反(반)한나라당 연합전선 구축으로 무슨 '연극'이 어떻게 연출돼 어떤 혼란을 부를지도 불안하기 짝이 없는 판국이다.

여당의 분당 사태는 오로지 다가오는 대선과 總選(총선)만 의식한 행태일 뿐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마저 저버린 沒廉恥(몰염치)의 극치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창당 때 내건 대국민 약속은 고사하고, 또다시 유권자들을 기만하면서 '간판을 바꿔 달 술수'에만 혈안이라면 정치'도덕적으로 용납돼서는 안 될 일이다.

앞으로의 國政(국정) 운영에는 치명적일 수 있고, 국회의 지각 변동으로 국정 과제들도 漂流(표류)할 수밖에 없게 된다면 그 책임은 여당에 남아 있는 의원들이나 탈당한 의원 모두의 몫이 아닐 수 없다.어깨가 더욱 무거워진 한나라당도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할 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