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 폐쇄 위기에 몰렸던 구미원예수출공사가 인력감축 등 경영혁신을 통해 올해 10억 원의 경영수지 흑자를 냈다. 환율하락과 유가인상 등으로 지난해 15억 원의 적자를 내면서 경영난을 겪어왔으나 고통을 동반한 경영혁신이 정상화의 밑거름이 된 것.
구미시가 자본금을 출연, 지난 1997년 설립된 구미원예수출공사는 구미시 옥성면 낙동강변에 축구장 4개 규모인 4만 1천 250여㎡(1만 2천 500평)에서 스프레이국화를 생산해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다.
설립 이후 비교적 순탄하던 공사는 지난 2004년부터 환율 하락·가격 경쟁력 약화·유가 상승 등 외부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말레이시아·베트남 등 지역적 환경이 유리한 국가의 저가 공세에 밀려 일본시장을 잠식당해 1억5천만 원의 적자를 냈으며, 지난 해는 수출이 늘어날수록 적자폭도 더욱 커져 15억 원의 경영수지 적자를 내면서 문을 닫아야 할 지경에 이르게 됐다.
구미시는 자구책으로 사장을 해임하고 사장 잔여임기 1년 간 무보수 근무 후 경영수지 흑자를 달성하면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최고 10%)를 제공하는 조건에 김상호(69·전 칠곡군수) 씨에게 경영을 맡겼다.
김 사장은 "인센티브 전액을 직원들에게 돌려주고 빈손으로 돌아가겠다."면서 직원들을 독려해 '비상경영 300일 작전'에 돌입했다.
부득이 인력 감축을 단행하고 사무직원 10명을 현장에 투입 시켰다. 작업능률 향상을 위해 작업공정별 아웃소싱(Out-sourcing)제도 도입했다. 이 결과 총 인건비의 30%에 해당하는 5억 여 원 정도를 절감시켰다.
연간 20억 원이 이르는 물류비용고 직거래 등을 통해 과감히 줄여 나갔다. 이런 노력들은 경영 성과로 이어졌고 올해 흑자를 기록했다.
김상호(69) 사장은 "동양 최대 국화수출단지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전 직원이 뼈를 깎는 아픔의 노력으로 경영혁신의 성과를 이뤄냈다."며 공을 직원들에게 돌렸다.
구미·정창구기자 jungc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