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혁신도시 '팔공 이노밸리' 건설(2007년 9월~2012년) 예정지인 대구 동구 신서·상매·율암·각산·동내·괴전·대림·사복·숙천 9개 동 주민에 대한 보상금은 2천500억~3천억 원 정도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대구 혁신도시 예정지가 132만 8천 평인데 비춰보면 보상금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다. 이는 해당 지역이 수십 년간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이면서 보상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공시지가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대구 혁신도시 사업 시행자인 한국토지공사는 혁신도시 예정지의 보상 추진을 위해 대구시, 동구청 등과 태스크 포스팀(7명)을 구성, 지난달부터 보상을 위한 토지와 지장물 조사를 벌이고 있다.
토지공사 관계자는 "내년 2월 말까지 토지 및 지장물 조사를 끝내고 5월부터 보상을 시작할 계획"이라며 "아직은 정확한 보상금 규모를 알 수 없지만 공시지가 등을 감안하면 2천500억~3천억 원 정도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시도 혁신도시 예정지 중 사유지를 100만 평 정도로 보고 보상금 규모를 2천억 원 이상으로 잡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예정지 내에 1천100가구가 살고 있고 보상해야 할 수목이 20만 주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며 "집과 수목 등 지장물에 대한 보상까지 생각하면 전체 보상금 규모는 토지공사 추산액과 비슷할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도시 예정지의 올해 공시지가는 대지는 60만~70만 원, 전·답은 20만~30만 원, 임야는 1만~2만 원 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토지공사는 주민들에게 이주자 택지(일명 딱지)를 조성 원가의 70%선에서 제공하고 상가(6~8평형) 공급을 계획하는 등 원활한 보상 합의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여병근 대구신서지구 대책위원회 위원장은 "혁신도시 건설 발표 때만 해도 주민들의 반대가 심했지만 최근 예정지 내 그린벨트 30만 평이 풀리면서 분위기가 많이 좋아졌다."며 "하지만 30여 년간 그린벨트로 묶인 탓에 공시지가가 너무 낮은 것에 대해서는 토지공사와 대구시가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