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대구경제 어떻게 해야 살 수 있나?

입력 2006-12-18 10:22:11

이희태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의 사회로 18일 대구상의 회의실에서 열린 '2007 대구경제 전망과 활성화 방안' 좌담회에서는 대구 경제의 현주소는 물론, 내년도 경기전망 및 극복과제 등이 제시됐다.

◆박봉규 대구시 정무부시장

올해 대구 경제는 지난해보다 거의 모든 면에서 나아졌으며, 내년에도 차부품과 기계장비 등이 호황국면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내년엔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위해 매달 '이달의 CEO'를 뽑고, '올해의 대구 CEO 대상'도 제정한다. 매출 1조 원 이상의 기업명칭을 사용한 가로명을 만들고, 우수 기업인은 KTX와 대구공항 귀빈실을 무료로 이용하도록 하는 등 기업인을 '받드는' 행정을 펴겠다.

달성3차 지방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지역 대표산업인 섬유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 의류에 대한 기술지원과 의류공동작업장 설치사업을 벌여나가겠다.

EXCO확장에도 나설 것이며, 경기를 선도할 대기업 유치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은 물론, 대구경북광학기술연구원을 만들겠다.

◆안도상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 회장

올해 9월을 기준, 대구 섬유제품 생산은 전년에 비해 13.8% 줄었고, 수출 역시 감소하고 있다. 원화 강세 지속으로 수출경쟁력이 갈수록 약화된다.

하지만 내년에도 내수 부진과 수출 감소가 불가피하지만 연구개발에 노력을 쏟아온 상당수 업체가 조금씩 결실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 섬유패션산업에 대한 비관론이 많지만 전체 대구 제조업 근로자의 3분의 1이 여전히 섬유패션산업에 종사(2004년 기준)하고 있을 만큼 대구의 핵심 기간산업이다.

대구 섬유패션산업은 산업용 섬유 비중을 확대하고, 글로벌 패션의류 브랜드를 보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어 전망이 어두운 것만은 아니다.

특히 최근 섬유패션산업에 대한 전문투자펀드인 '바이넥스트 섬유·패션 제1호 펀드'가 만들어져 향후 섬유패션산업에 대한 자금유입이 기대된다.

◆여두용 대구성서산업단지관리공단 이사장

내년도엔 IT산업과, 기계·금속 산업 모두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본격화하고 있는 원자재 가격 폭등사태가 여전히 진정되지 않음에 따라 우리 기업이 부담해야 할 몫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원자재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무역금융 긴급자금을 조성, 낮은 이자율로 기업들에게 지원해줘야 한다.

대구는 대다수 업체가 부품·소재 기업이다. 지금 세계적 조류는 부품·소재가 보이지 않는 중간재가 아니라, 하나하나가 최종재로서 대접받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지역 기업들이 부품·소재가 더 이상 보조가 아닌 '핵심'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대구의 최대 공업단지인 성서공단 주변 교통체증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대구시는 달서구 유천동에서 구마고속국도에 이르는 도로에 대한 확장공사와 남대구IC 입체화 공사를 하루 빨리 완공, 기업들이 도로에서 시간과 비용을 쏟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홍중 대한건설협회 대구시회 회장

올해 대구 건설업계는 극심한 공사물량 부족현상과 외지업체의 지역내 발주공사 독점현상에 시달렸다.

계약실적이 한 건도 없는 회원사가 1분기 43%, 2분기 35%, 3분기 38%나 됐다.

내년에도 건설 수주액이 올해보다 4%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건설 경기 회복시기를 정확히 짐작하기 어려울 만큼 힘든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경부고속철 주변 정비 공사와 혁신도시 건설사업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어야 한다. 또 현재 역내 발주 공사 물량의 22% 정도만 지역 업체가 가져가는데 이 비중을 70%까지 끌어올려야 한다.

대구도 이른바 '빅(Big) 포르젝트'를 만들어야 한다. 33조 원짜리 J프로젝트를 딴 전남·광주, 신항만 프로젝트를 가진 부산·경남만 해도 대구와 비교가 안 된다. 신항만 프로젝트 경우, 이 프로젝트의 일부인 거가대교 교량 하나에만 1조 6천억 원이 투입된다.

◆권업 계명대 경영학과 교수

2000년 6개에 불과하던 대형소매점이 올해 현재 16곳으로 불과 몇 년 만에 3배나 늘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인구 15만 명당 1곳을 대형소매점 적정 숫자로 보는데 대형소매점이 1곳 늘어나면 재래시장 7곳, 중소유통업체 350곳의 매출액을 잠식시킨다.

대형소매점은 지역 생산품 구매비율이 매출액 대비 10% 수준에 불과하고, 고용도 대부분 비정규 계약직 위주여서 지역에 큰 도움이 안 된다. 더욱이 대형소매점 대다수가 서울 본사 체제여서 상품 매출액 대부분이 당일 또는 그 다음날 본사로 송금돼 지역 경제 구매력이 고스란히 외부로 유출되고 있다.

지방정부는 도시계획조례 개정을 통해 대형소매점 입점 제한과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따른 입점제한 등의 조치를 모색해야 한다.

내년에도 대형소매점의 독과점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대구에 재래시장 상품권 제도가 내년 첫 도입되므로 시민들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