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수학 완전 마스터…영어 하루 1시간 토플로
중학교 3학년과 초등학교 6학년 겨울방학을 성공적으로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경신고 1학년 김은집(16) 군과 도원중 1학년 이정민(13) 양으로부터 1년전 자신들이 보낸 겨울방학 얘기를 들어봤다. 두 학생 모두 이 시기를 지혜롭게 보낸 덕에 상급 학교 진학 후 교내 최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
▶내가 보낸 중3 겨울방학은
김은집 군은 "고등학생이 되면 본격적인 입시가 시작된다는 생각에 중3 겨울방학 때 부담감이 아주 컸다."며 "주요 과목의 경우 한 학기나 1년 과정을 선행한 것이 효과가 있었다."고 했다.
김 군은 특히 수학에 집중했다. 중3 올라오면서 고1 공통수학 과정을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겨울방학에 와서야 비로소 마스터할 수 있었다. 1주일에 두 차례 수학 과외를 통해 기본개념을 배우고 완벽히 응용할 수 있을 때까지 문제집을 계속해서 풀었다. 겨울방학 때는 난이도가 높은 시중의 문제집과 방송교재까지 포함해 3, 4권을 끝낼 수 있었다. 개념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반드시 하루 2시간은 복습을 했다.
"중학교 때 공부 잘하던 친구들도 수학 성적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학 과목은 최소 1학기 내용이라도 선행을 하지 않으면 바쁠 것 같아요." 다양한 문제를 많이 접한 덕에 중간·기말고사 시험 때 빠르고 정확하게 문제를 풀 수 있었다는 것.
다른 과목은 예습 정도만 해도 충분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내 수준에 맞게 학습 진도를 세우고 진도를 지키기 위해 일정한 공부량을 확보하는 일은 필수다.
김 군 경우 영어는 중3때부터 시작한 토플 공부로 대신했다. 하루 1시간씩 토플 문제집으로 문법과 듣기 공부를 병행했다. 그 덕에 토플 성적은 270점(CBT기준)을 받았다.
국어는 일주일에 한 번 학원에서 3시간씩 공부했다. 이 때 눈여겨 본 현대시나 문학은 교과서에 나오는 것도 많기 때문에 내신이나 모의고사 때 큰 도움이 됐다. 논술학원은 미리 다니지 않았다.
문과 지망생인 김 군은 겨울방학 때 공통과학 과정을 다 뗐다. 학원은 다니지 않고 자습서와 문제집만 가지고 혼자 공부했다. 사회 과목은 학원에서 마련한 7주 단기특강으로 해결했다.
김 군은 방학 때도 오전 8시에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을 했다. 오전에는 주로 혼자 공부하고 학원 수업은 오후로 돌렸다. 국어, 영어, 수학, 사회 등 4개 학원을 다녔지만 늦어도 오후 9시전에는 수업을 끝냈다. 학원은 하루 한두 개로 분산했다.
책을 많이 읽지 못한 것은 지금 생각해도 아쉽다. 시간적인 여유가 많은 방학 때 깊이 있는 경제·철학·과학 서적을 읽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김 군은 "미리 봐 놓은 내용이어서 학교 수업 때 이해가 더 잘되고 실력도 다질 여유가 있었다."면서 "겨울방학 때는 학원 수업도 중요하지만 혼자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