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동물 교잡배아 만든다

입력 2006-11-07 10:09:55

영국의 줄기세포 연구기관들이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뇌졸중의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유전물질을 제거한 동물의 난자에 인간의 체세포 DNA를 주입해 인간-동물 교잡배아를 만들어 여기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연구에 이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영국 런던 킹스 대학과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줄기세포연구소(NESCI)는 배아연구-불임치료 감독기관인 수정배아관리국(HFEA)에 유전물질을 제거한 암소, 염소, 토끼의 난자에 인간DNA를 주입시켜 배아를 만들어 연구용으로 3년간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해 주도록 요청할 것이라고 6일 발표했다.

동물난자는 유전물질을 모두 제거한다고 하지만 세포핵 바같에 DNA가 남아있기 때문에 인간-동물 교잡배아는 99.9% 인간, 0.1% 동물이 된다.

두 연구기관은 인간-동물 배아를 6일동안 키워 포배로 만든뒤 줄기세포를 채취할 것이며 배아는 14일이 되기 전에 모두 파괴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연구기관은 인간난자를 이용하려면 단 하나의 인간배아줄기세포주를 만드는데 수 백개의 난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렇게 많은 난자를 확보하기가 어렵다고 말하고 할 수 없이 대안으로 동물의 난자를 이용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HFEA는 아직까지 신청서가 접수되지 않았으며 신청이 들어오면 전문가 그룹이 심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허가여부가 결정되기까지는 여러 달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다른 과학자들은 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환영을 표시했으나 비판론자들은 비윤리적이며 위험한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킹스 대학 연구팀은 이 방법을 통해 근이영양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같은 특정질환을 일으키는 유전적 결함을 지닌 줄기세포를 만들어 신경세포로 분화시키면서 이런 질병이 어떻게 발생하며 어떻게 치료해야 할 것인지를 연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NESCI연구팀은 유전물질을 제거한 동물의 난자에 인간의 피부세포를 주입해 난자가 성체조직을 어떻게 원시세포로 전환시키는지를 규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