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이전 2008년 확정…시·군들 '소리없는 전쟁'

입력 2006-11-03 10:47:21

경상북도가 도청 이전을 7대 전략과제의 하나로 정하고 2008년 상반기 이전 예정지역을 확정하겠다고 발표하자 경북도내 시·군들이 유치전담조직을 구성하는 등 사활을 건 유치전에 돌입했다.

시군들은 그러나 1990년대 도청 유치운동 당시의 실패를 교훈삼아 이번에는 시군청 행정조직을 전면에 내세우는 대신 기초의회나 시민단체를 앞장세우고 있다. 기초단체 개별적인 유치운동보다 인근 시군과의 연대도 꾀하고 있다.

포항시는 이달 중순 내로 포항지역발전협의회 등 민간단체 중심으로 추진위를 구성해 유치운동에 나선다.

지난 1990년대 집회, 시위 등 거센 투쟁 방식을 전개했었던 안동시는 북부혁신협의회, 북부지역행정협의회, 북부의장협의회, 북부도의원협의회 등을 전면에 내세워 경북 북부지역 전체의 지원을 유도하고 있다.

영천시는 혁신도시 유치에는 실패했지만 도청만은 반드시 유치한다는 각오로 곧 '도청유치팀'과 '범시민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상주시는 시청 내에 도청유치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도청유치 전담팀'을 구성했으며 상주시의회도 시민단체와 출향인, 시의회가 참여하는 '경북도청 유치 추진위원회'를 만들기로 했다.

지난달 도청 및 공공기관유치지원단을 구성한 군위군은 벌써 회의를 두 번 열고 행정력을 지원하고 있다.

의성군은 민선 4기 출범 이후 경북에서는 처음으로 8월 18일 지역 인사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도청유치 추진준비위원회를 결성, 발빠른 유치운동에 나섰다.

경북도청 관계자는 "김관용 지사가 과열 경쟁을 우려, 공개적인 유치운동을 벌이는 기초단체에는 불이익을 주겠다고 언급한 뒤 일시 소강 상태를 보이기도 했지만 '도청 유치만이 살 길'이라는 판단에다가 '우리만 뒤쳐질 수는 없다.'는 경쟁의식까지 더해져 각 시군들이 일제히 도청 유치전에 달려드는 양상"이라고 말했다.

사회2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