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일자리 7만개 창출 인프라 구축부터

입력 2006-10-24 10:27:54

지방자치단체의 최대 화두는 단연 '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다. 경북도도 예외는 아니다. 23일 열린 '2006 경북도민의 날' 기념식에서도 관심의 초점은 단연 경제 회복이었다.

김관용 도지사는 이날 기념식에서 자신의 공약인 '일자리 7만 개 창출'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희망 경북 비전 선포'를 통해 김 지사와 23개 시·군 단체장은 "새벽을 여는 경북, 일자리가 있는 경북을 만들자."고 다짐했다.

졸업을 해도 갈 곳이 없는 20대 백수와, 중도에 직장을 그만 둔 명예퇴직자, 노인 구직 희망자들이 즐비한 요즘 일자리를 만들어낸다면 그보다 더 좋은 지도자가 어디 있겠는가.

경북도는 최근 지사의 공약 이행을 위해 국내·외 기업 및 자본 유치를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 국책사업 및 SOC사업 시행 등 대형 프로젝트 개발에 따른 고용 창출, 농업·문화 등 도정 수행과정에서 일자리 창출 등을 발표했다.

하지만 민선 4기 출범 4개월이 다되도록 아직 지역 경제가 살아나고 일자리가 마련될 수 있다는 신호는 감지되지 않고 있다.

거대한 수도권은 비대해지는 반면 경북을 비롯한 지방은 낙후 정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런데도 수도권 광역 민선자치단체장들은 대수도론을 들먹이고 있고, 지방분권을 강조하던 정부는 수도권 표심 잡기에 정신이 팔려 규제완화 정책을 잇따라 도입하는 형편이다.

기업들이 경북으로 올 수 있는 교육여건 개선과 문화기반시설 확충 등 다양한 인프라를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리지 않는다. 공무원들의 친기업 마인드가 형성 중이라는 소리도 없다.

김 지사는 "경북도는 단 한 개의 일자리가 생기더라도 그 길을 선택하겠다."고 결연한 의지를 다졌다.

그의 의지가 헛구호에 그치지 않고 23개 시·군 300만 도민들의 염원대로 실천되기를 기대해 본다.

최정암기자jeongam@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