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폐막된 제115차 국제의회연맹(IPU) 총회 참석차 제네바를 방문했던 우리나라 국회의원들과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인 리철 주스위스 겸 주제네바 대사가 19일 오전 전격적으로 자리를 함께했다. 제네바 국제회의센터에서 1시간가량 진행된 이날 남북 의원 회동에는 우리 측에서는 김혁규(金爀珪) 신중식(申仲植) 윤원호(尹元昊) 의원이, 북측에서는 리철 대사와 수행원 2명이 각각 참석했다.
IPU 한국대표단 단장인 유재건(柳在乾) 의원은 이날 일찍 떠나는 바람에 회동에 참석하지 못했다.
한국 대표단은 총회 기간에 여러 차례 리 대사와의 회동을 제의했으나 북측에서 답변이 없다가 총회가 폐막한 이튿날인 이날 오전 북측이 전격적으로 제의를 받아들이면서 성사됐다.
김혁규, 신중식, 윤원호 의원과 리 대사는 서로 반갑게 악수하고 잠시 기념촬영을 한 뒤, 제네바 국제회의센터내 별실에서 소파에 마주 앉아 북한의 핵실험과 남북관계 등을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리 대사는 17일 북한의 핵실험 관련 결의안 채택 여부를 놓고 진행된 전원회의에서 "무력은 무력을 부르고 전쟁은 전쟁을 부른다. 북한은 살기 위해 핵무기를 만든다고 하는데, 그것은 현명치 못하다."라고 비판했던 유재건 단장의 발언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이에 김혁규 의원은 "유 의원의 발언은 4천700만 남한 국민들이 다 똑같이 생각하는 것"이라고 지적한 뒤, "우리로서는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용납할 수 없으며, 북한의 핵무기 보유는 핵무장 도미노를 초래해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무너뜨리게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북한이 지금처럼 국제사회에서 고립돼서는 살아갈 수 없는 만큼,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핵문제를 풀어야 한다."면서 핵무기 포기와 6자회담 즉시 복귀 등의 필요성을 적극 개진했다.
특히 김 의원 등 우리 측 의원들은 현 위기 상황의 심각성을 지적한 뒤,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조속히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 또는 반기문(潘基文) 차기 유엔사무총장을 특사로 초청해 진지하게 의견을 나누고, 그 후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할 수 있도록 하라고 말했다고 신 의원은 전했다.
이에 리 대사는 현재의 국제정치적 환경을 감안할 때 그것이 빠른 시일내에 가능하겠느냐고 회의를 표시하면서도, 김 전 대통령에 대한 김정일 위원장의 존경심은 여전하며 김정일 위원장이 국제흐름을 잘 알고 있는 만큼 시기 선택을 고심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신 의원은 덧붙였다.
리 대사는 특히 6자회담 미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금강산 관광과 관련해 남한정부에 중단하라고 간섭할 수가 있느냐고 강한 불만을 표시한 뒤, 남한 정부가 금강산 관광에 대해 확고한 입장을 견지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그는 전했다.
제네바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