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임금수준 '최하위'…청년 실업률 9.7%

입력 2006-10-19 10:57:07

19일 대구지방노동청과 대구지방환경청을 상대로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대구의 고용 정책과 낙동강 수질 문제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대구노동청 국감에서 한나라당 안흥준 의원은 "대구·경북지역 고용관련 예산은 연간 3천395억원으로 적지 않은 돈이 투입되고 있지만 청년 실업률(9.7%)은 높고 실업 수혜율(20.6%)은 저조한데다 임금수준은 대도시 중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고용지표들이 전국평균을 밑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열린우리당 김종률 의원은 "포스코 사태에서 드러났듯이 대형 사업장에서 노사 갈등이 미치는 경제적 파급 효과는 엄청나고 이같은 피혜를 막기 위해서는 지방노동청의 사전 예방노력이 필요하다."며 "주 5일은 커녕 근로시간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근로자들이 많지만 대구노동청은 이에 대한 사전 예방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환경청을 상대로 열린 국감에서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은 "대구 대표 의료기관인 경북대병원에서도 전염성·알레르기·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대기중 유지 기준이 환경기준치보다 무려 2.2배 높게 검출됐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같은 당 맹형규 의원은 앞산터널 공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구시는 사업자 선정 과정, 사전환경성 검토, 환경영향평가서까지 객관적으로 추진해 왔다고 보기에는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며 "대구지방환경청의 면밀한 보완서 검토 작업과 함께 대구시·시민환경단체 그리고 지역 전문가 등이 머리를 맞대고 생산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별도의 모임 구성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이강래 의원은 "최근 대구시 취수원에서 유해 물질이 잇따라 검출되자 대구시는 취수원을 구미공단 인근의 낙동강 상류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며 "취수원을 옮기는 것 보다 하천수질조사를 확대·시행하는 등 취수원 보호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