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당 북핵해법 '갈등'…대선주자들 해법 제각각

입력 2006-10-12 10:22:29

북핵 대응을 둘러싸고 정부와 열린우리당 사이에 혼선이 일고 있는 가운데 김근태 당 의장이 연일 노무현 대통령을 비판하고 나섰고 천정배 전 법무장관까지 노 대통령 비판대열에 동참했다.

그러나 정동영 전 의장 등 다른 대권 예비주자들은 사태 추이를 지켜보면서 말을 아끼고 있다.

김 의장은 12일 다시 노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웠다. 김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당 북핵대책특위' 첫 회의에서 "한반도에서 무력충돌은 안된다는 것이 모두의 합의이고 기본정신이며, 이 원칙을 양보·왜곡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다."면서 "유엔결의안이 채택되기도 전에 PSI(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참여확대 방침이 정부 당국자 입을 통해 거론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김 의장은 노 대통령의 기자회견 직후 대북 포용정책 포기는 잘못됐다며 노 대통령을 정면으로 비판하면서 입장차를 분명히 한 바 있다.

천정배 의원도 11일 "북한의 핵실험사태를 불러온 것은 포용정책 때문이 아니라 참여정부 대북정책의 일관성 부족 때문"이라며 노 대통령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천 의원은 이날 당 홈페이지에 올린 칼럼을 통해 "포용정책이 모든 점에서 완벽하다고 볼 수 없으나 북한 핵실험사태 책임을 포용정책에 돌리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했다.

반면 정 전 의장과 신기남 의원은 아직까지 북핵문제에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김현미 의원 등 정동영계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개성공단 사업과 금강산관광의 지속과 대북 포용정책의 유지를 촉구하는 성명을 잇따라 발표했다.

열린우리당 내 예비주자들의 이같은 행보는 대북 포용정책 실패를 자인한 노 대통령에 대해 "햇볕정책이 왜 죄인가?"라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강한 반발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예비주자들 간의 'DJ노선 따르기'라는 시각에서 분석하기도 한다. DJ가 가장 중시하고 있는 햇볕정책을 옹호하고 나섬으로써 호남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