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어도 부근서 "수중암초 새로 발견"

입력 2006-09-30 10:25:03

1963년 인근 해역서 침몰한 '약진호' 선체도 확인

중국은 지난 1999년부터 2002년까지 3차례에 걸쳐 제주도에서 남서쪽으로 200㎞ 가량 떨어진 해역에 대한 멀티빔 측량 등을 통해 수중암초 하나를 새로 발견하고 이 암초에 임시 이름까지 붙인 사실이 중국측 자료에 의해 확인됐다.

중국 국가해양국의 주도로 해양출판사가 작년 9월에 발간한 것으로 돼 있는 '중국 근해 및 인근해역 지형.지모(中國近海及隣近海域地形地貌)'에 따르면, 중국이 새로 발견한 암초는 한국의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서 동북쪽으로 약 4.5㎞ 떨어진곳에 자리잡고 있다.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뻗어 있는 이 암초의 크기는 길이 390m, 너비 220m, 면적 0.086㎢로서 전체 적으로 기다란 말 안장 모양을 하고 있다. 또 양쪽 끝은 높으면서 뾰족하게 각이 졌고 중간 부분은 낮으면서 작은 돌기가 돋아 있는 형태다.

이 암초의 서북단에서 수심이 가장 얕은 곳은 북위 32도08.819분, 동경 125도13.

342분이고 수심은 26.0m였다. 또 동남단에서 수심이 가장 얕은 곳은 북위 32도08.7 6분, 동경 125도13.41분이고 수심은 28m로 확인됐다.

중국은 1999년, 2001년, 2002년에 제주도에서 남서쪽으로 약 200㎞,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북동쪽으로 약 335㎞ 떨어진 해역 내의 이어도 등에 대해 자세한 멀티빔 측량, 재측량 및 대조 확인 작업 외에 얕은 지층의 단면, 사이드 스캔 소나, 자기법 등의 보조수단을 활용한 탐사를 통해 이 암초를 확인, 임시로 '딩얜(丁岩)'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어도는 1900년 부근 해역을 지나던 영국 상선 '소코트라'호에 의해 처음 발견돼 이 상선과 같은 이름을 딴 '소코트라 락(Socotra Rock)'으로 세계 해도에 올라 있으며, 중국은 이를 '쑤옌자오(蘇岩礁)' 또는 '쑤옌'으로 부르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