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 떠넘기기(?)…별도 위원회 구성
2011년 운행 예정으로 대구시가 유치 총력을 기울이는 정부의 자기부상열차 실용화사업의 윤곽이 타당성 조사 결과 시범노선 7km 이내, 사업추진기간은 6년, 총사업비 4천500억 원 등인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김석준(대구 달서병)·정희수(영천) 국회의원이 건설교통부 산하 건설교통기술평가원(건기평)으로부터 입수한 타당성 조사 중간보고서에서 이 같이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열차를 여러 대 편성해 1년간 3만km의 시범운전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선 약 5km의 시범노선으로 충분하지만 영업운행 측면과 노선 연장의 가변성을 감안해 7km 이내로 확정했다.
사업추진 소요기간은 6년으로 했고, 총 사업비는 4천500억 원 규모로 시범노선 건설에 3천700억 원, 기술보완에 800억 원 등이 소요된다. 예산은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조달한다.
또 시범노선 구축은 주관 연구기관과 노선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 간의 협력체제 방식으로 추진키로 했다. 주관연구기관은 사업총괄 및 시범노선 건설공사 발주를 맡고, 지자체는 도시철도기본계획 수립, 사업면허 취득, 인·허가 등의 행정 업무를 지원키로 했다.
시범노선 소유권은 실용화사업 종료 후 지자체에 귀속시킬 계획이다.
보고서는 또 국내 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80%라고 보고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기술 확보에 주력해야 하며, 이 기간을 3년 정도라고 판단했다. 여타 경전철에 비해 건설비는 비슷하지만 유지보수 비용이 낮아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중간보고서에서 발표될 것으로 기대했던 시범노선 선정기준의 경우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해 기준안을 마련하고, 공청회 등 투명한 절차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혀 예정도시 선정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이는 대구뿐만 아니라 부산, 인천, 대전, 마산, 창원 등이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는 등 지자체 간 과당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을 의식한 조치라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이에 대해 김석준 의원 측은 "정작 기대했던 시범노선 선정기준을 별도의 위원회에게 미룬 것은 책임을 회피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