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식 부총리 "DGIST 교육기능 추가 고려"

입력 2006-09-28 10:12:17

김우식 과학기술부 장관이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이 고급 교육기관 및 연구기관으로 나가야 한다는 요지의 말을 한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DGIST 측과 지역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 소속 한나라당 서상기(비례대표) 국회의원에 따르면 김 장관은 지난 22일 원자력연구소가 과기 부총리 산하의 연구회로 편입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는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안' 심사에 참석해 이 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서 의원이 "DGIST도 과기 부총리 산하의 연구회에 편입시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질문하자, 김 장관은 "적어도 교육 기능으로서는 대전의 KAIST, 대구의 DGIST, 광주의 GIST 등 셋이 하나의 고급 교육 및 연구기관으로 축을 이루면 좋겠다."라고 말한 것. 이어 서 의원이 "그러면 DGIST도 교육 기능을 추가해주면 좋겠다."고 건의하자 김 장관은 "그건 검토를 좀 해야겠다."고 답변했다.

이는 지금까지 역대 과기부 장관들이 DGIST의 교육기관 추가 문제에 대해 아예 답변을 피했던 것과는 크게 달라진 것이다.

또 원자력연구소가 과기 부총리 산하의 연구회로 편입되면 이공계 연구기관으로서 DGIST만이 유일하게 독자적으로 남아있는 것을 감안, 장기적으로 교육기능을 추가해 KAIST, GIST와 같은 형태로 나가야 한다는 소신을 밝힌 것이라고 지역 정치권은 분석했다.

김 장관의 이 같은 답변 소식이 알려지자 DGIST 측은 즉시 서 의원 측에 진의를 파악하는 등 큰 관심을 나타냈다.

서 의원은 "DGIST의 법적 지위 문제는 장기적으로 DGIST의 사활이 걸린 문제다. 과기 부총리 산하의 연구회로 편입되든지, 교육기능까지 추가해 KAIST, GIST를 좇아가든지 선택해야 할 것"이라며 "대구시와 DGIST, 지역 사회 등의 합의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과기정통위는 27일 상임위를 열고 '과학기술 분야 정부 출연 연구 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안' 법안 소위원회 심사를 마쳤으며, 사실상 이번 정기국회에서 통과가 확실시된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