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수학여행을 해외로 가는 경향이 확산되면서 학생의 가정 형편에 따라 해외와 국내로 나눠 수학여행을 떠나는 사례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열린우리당 안민석(安敏錫) 의원은 21일 서울, 경기, 부산, 대구, 대전 등 5개 광역시도 내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수학여행 실태를 심층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지난 해에는 5개 시도 738개교 가운데 28곳(3.8%)이 해외-국내 분리 수학여행을 실시했고, 올해는 635개교 중 39곳(6.1%)이 분리 수학여행을 다녀왔거나 계획을 확정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분리 수학여행을 실시한 고교들의 해외 및 국내 여행 부담 경비의 격차는 평균 25만 7천 원이었으며, 올해는 28만 1천 원으로 차이가 더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K여고의 경우 지난해 16만 7천 원이 드는 국내 서남해 여행과 71만 원 짜리 중국 여행, 94만 원 짜리 일본 여행의 3가지 종류로 수학 여행을 진행했다.
대구 Y고도 지난해 제주도(21만 4천 원), 일본 규슈(九州·40만 원), 중국 베이징( 北京·61만 원) 등 세 코스로 수학여행지를 나눴으며, 서울 S여고는 경주(17만 3천 원), 제주(23만 6천 원), 중국(49만 9천 원), 일본(76만 5천 원) 등 모두 4곳에 학생들을 나눠 보냈다.
또 해외 수학여행 증가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여행 경비 부담액도 늘어난 반면, 수학여행에 참석하는 학생은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1인당 평균 수학여행 부담 경비는 지난해 18만 2천 원에서 올해 23만 7천 원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수학여행 불참률도 4.3%에서 5.3%로 높아졌다.
안 의원은 "수학여행은 학창시절 친구들과 소중한 추억을 만들기 위한 취지인데, 지금처럼 수학여행을 비용의 많고 적음에 따라 분리해 간다면 추억 대신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과 부유한 학생간 위화감만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학여행 인솔 교사들에 대한 학교측의 경비 지급도 여전히 인색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안 의원은 지적했다. 안 의원은 "지난해 수학여행을 인솔한 738개교 교사들 중 73.3%가 학생 1인당 부담경비보다 적은 출장비를 받았고, 일부는 아예 출장비를 받지 못했다."며 "이 때문에 일부 교사들의 '공짜 수학여행' 문제가 불거지는 만큼 출장비를 현실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