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커드.노동미사일 400km 해상 표적지역 탄착'
북한이 지난 7월5일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발사한 대포동2호 미사일은 40초간 정상비행을 하다가 공중에서 부러져 발사대에서 2km 이내의 해안가에 추락,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최종 결론이 났다.
합동참모본부는 16일 "당시 세 번째로 발사된 대포동2호는 40초간 정상비행을 했으나 그 이후 기능에 이상이 생겨 정상적으로 비행하지 못하고 발사지점에서 가까운 동해안 인근 해안가에 추락, 실패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합참은 대포동2호 실패 원인은 "기술적 결함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합참은 "대포동2호가 발사 후 40초간은 정상비행을 했으나 나중에 중대한 결함으로 공중에서 부러지면서 발사대로부터 2km 이내의 해안가에 추락했다"며 "대포동2호 잔해가 발사대 인근 내륙과 해안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합참은 그러나 "대포동2호가 공중에서 폭발하거나 공중분해가 됐다고 보는 것은 정보분석과 거리가 있다"며 "공중에서 부러진 것이 정확하다"고 강조했다.
합참의 고위 당국자는 미사일 발사 하루 뒤인 지난 7월6일에는 "대포동2호가 발사 후 42초 정도까지는 정상비행을 하다 엔진 이상 등으로 추정되는 원인으로 문제가 생겼다"며 "관성에 의해 이후에도 비행을 계속해 발사 후 총 7분간, 490여㎞를 날아간 뒤 동해상에 추락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합참은 "최초 분석 때엔 제한된 첩보에 근거해 분석했으며 이후 다양한 출처의 모든 첩보를 수집해 정밀 분석한 결과 이날 발표된 내용을 산출해 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합참은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에서 발사된 스커드미사일 2발과 노동미사일 3발, 스커드 또는 노동미사일로 추정되는 1발 등 모두 6발은 발사지점에서 400km 떨어진 동해상의 가상 표적지역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떨어졌다고 말했다.
당시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시간대별로 보면 오전 3시30분, 4시, 5시, 7시10분, 7시30분, 8시20분, 오후 5시20분에 각각 1발씩 총 7발을 발사했다고 합참은 덧붙였다.
한편 합참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기지 동향과 관련해서는 "새로운 징후가 감지된 것은 없으며 한미 군사정보당국이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